earticle

논문검색

우리나라 가계기록의 세 가지 유형

원문정보

Research on three types of genealogy records of Korea

윤현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classify old books and documents into specific types based on certain standards is very hard, however, it is critically necessary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genealogy records of South Korea are excellent materials for research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but unfortunately appropriate studies or researches on this area have not been continued. Therefore, it is urgently required to classify and categorize genealogy records of Korea. It needs to categorize genealogy records, including genealogy books, genealogical tables, family trees and many other similar materials in order to provide a broad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Korean genealogy records. It is also possible to make Korean genealogy records as national written cultural heritage in a systematic way by dealing with individual 'lineage', 'literary legacy' and 'the history of blood relatives' within genealogy records.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genealogy records is that they are documents which play a role as communication tools directly and indirectly among the people who are from the same bloodline. Genealogy records are comprised of a variety of sentences, however, they try to deliver the history of mankind, the relationship among human and stories of people ultimately. Unlike other documents, readers and writers, subjects and objects are changeable in genealogy records freely. Most of all, genealogy records have been reproduced continuously as a living legacy, not a relic like an antique. Genealogy records of Korea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cultural heritage and have limitless values. Although there are numerous documents both in private and public places and the current researches are mainly focused on genealogy books, we are sure that it is time to rethink about genealogy records in earnest and proactively. The author hopes that this paper's categorization will help trigger extensive researches.

한국어

옛 서적이나 문서 등을 일정한 기준에 맞춰 유형화하는 일은 고되지만 반드시 거쳐야 하는 일이다. 특히 우리나라 가계기록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우수한 연구 조건을 갖추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그에 합당한 연구가 이어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범주화와 유형화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다. 族譜 뿐만 아니라, 世譜, 派譜, 世系, 家藏(狀), 文獻錄, 世稿, 家乘 등을 포함하는 가계기록의 범주 설정은 우리나라 가계기록에 대한 거시적이고 종합적인 이해를 위해 필요하다. 그리고 그 틀에 속하는 개별 기록물을 ‘혈통 관계’, 또는 ‘문학적 유산’을 중요하게 다루거나, ‘혈족의 역사’를 중요하게 다루는 것으로 유형화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가계기록은 체계적인 기록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가계기록의 가장 큰 특징은 피를 나눈 사람들이 수대에 걸쳐 직간접적으로 소통하는 수단으로서 기록한 문헌이라는 점이다. 가계기록은 다양한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궁극적으로 전하고자 하는 바는 가계의 역사와 사람 사이의 관계, 또 그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 등이다. 다른 기록물과 달리 독자와 編者, 주체와 객체 관계가 자유롭게 뒤바뀔 수 있다는 것도 독특하다. 무엇보다도 가계기록은, 골동품처럼 유물로 간직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 있는 유산으로서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독특한 기록문화를 형성하였다. 우리나라의 가계기록은 가장 한국적인 문화유산일 뿐만 아니라 학술자료로서도 무한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사적인 공간과 공적인 공간에서 소장하고 있는 자료의 수는 이루 헤아리기 힘들 정도이며 족보에만 한정되어 있는 연구 환경 등의 어려움이 있기는 하지만 가계기록에 대한 본격적이고 적극적인 재조명이 필요한 시점임에는 틀림이 없다. 본고의 유형 분류가 그 작은 시발점이 되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가계기록의 범위와 유형
 3. 유형별 가계기록의 특징
  1) 血統관계를 중요하게 다루는 가계기록 ; 族譜類
  2) 집단 구성원의 문학적 遺産을 중요하게 다루는 가계기록 ; 家藏類
  3) 다른 가계기록의 기초가 되거나 血族의 역사를 중요하게 다루는 가계기록 ; 家乘類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현숙 Youn, Hyun-sook. 목원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