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2부 일반 논문

불교 계율사상의 도덕교육적 의미 - 한국불교 계율정신과 자유의지 문제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Moral Educational Approach to the Buddhist Thought of Precepts - focusing on the Problem of Free Wil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Buddhist Theory of Precepts -

박병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can say that Buddhists' interest in the problem of free will is philosophical in that it rests on the teachings of Buddha. Although Buddha's teachings are grounded on the objective investigation of the natural phenomena and human nature, it ultimately leads to the philosophical questions about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life. However, it is unrealistic to expect of the Buddhistic perspective on the problem of free will because of the diversity of the historical Buddhism, which reflects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In this paper I'll try to approach the problem of free wil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Buddhist theory of precepts. This theory is integrative in that it is concerned both with the Theravada Buddhism's precepts and with the Mahayana Buddhism's. Furthermore, it shows even a tendency to ignore precepts. Manhae(萬海), a famous modern Korean monk, has argued for the individual monk's freedom to decide whether he will marry or not.
We are to pay attention to the aspect of motivation in the Korean Buddhist tradition of precepts. It focuses on the process leading to the ultimate Awakening rather than on each precept itself. This tradition has derived from Wonhyo(元曉), the ancient Shilla(新羅) monk and it is also found in the modern Korean Buddhism.
After all, the precepts in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are considered to be the means to lead to the ultimate Awakening and to keep the Buddhist community. At the level of practice, however, they are reduced to the problem of mind(一心). This status of precepts in Korean Buddhism can be explained as compatibilism in that it admits the problem of mind as that of a free will and the Buddhistic theory of determinism at the same time.
The remaining tasks of the theory of precepts are how to wide and deepen the intentional power for the ultimate Awakening, and these are also the practical problems of mediating between mind and precepts. Finally, we need to recognize that it is related with the important task of exalting the precepts among the three Buddhists' methods of training(三學) on the part of the Korean Buddhist tradition of precepts.

한국어

자유의지 문제에 대한 불교의 간섭은 기본적으로 석가모니 붓다의 가르침 자체에 의지한다는 점에서 철학적 성격을 지닌다. 붓다의 가르침이 자연현상을 포함하는 인간의 본성에 관한 객관적인 고찰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삶의 의미와 지향을 묻는 철학적 물음으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역사적인 불교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에 근거하면서도 각 문화권의 특성을 반영하여 진행되었기 때문에 다양성을 갖게 되었고, 그 다양성 때문에 자유의지 문제에 대한 단 하나의 불교적 관점을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이 논문에서 논자는 그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삼아 한국불교의 계율론의 관점에서 자유의지의 문제에 접근해보고자 하는 시도하고 있다. 한국불교의 계율 전통은 상좌불교의 계율을 근간으로 삼으면서도 대승불교의 보살계를 동시에 중시하는 통합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더 나아가 간화선 중심의 전통으로 정착하는 과정에서 계율을 일정부분 경시하는 경향마저 보이고 있다. 한국불교 근대화의 주역 중 하나인 만해스님의 경우에 바라이죄에 속하는 음욕법을 어기는 승려의 결혼을 각 개인의 자율로 맡겨야 한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는 것이 그 근거 중 하나이다.
자유의지 문제와 관련하여 한국불교 계율 전통에서 주목해야 하는 지점은 각각의 계율을 지키는 것을 중시하기보다는 그 계율을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으로 보고 그 지향성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중시하는 마음 중심의 동기론적 관점이다. 한국불교의 새벽이라고 불리는 원효스님으로부터 비롯된 이러한 전통은 한국 근대 불교에서 다시 확인된다.
결국 한국불교의 전통 속에서 계율의 위상은 일차적으로 승가공동체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기본 요건으로 받아들여지면서도 보다 실천적인 차원에 이르면 간화선 중심의 깨달음의 과정 속에서 그 지향성을 유지하는지가 계율 준수의 기준이 되는 마음의 문제로 환원되고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불교 안에 내재되어 있는 연기론적 관점을 염두에 두면서 이 마음의 문제를 자유의지의 문제로 해석할 경우, 연기적 존재로서의 결정성을 받아들이면서도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자유의지가 마음속에 주어져 있다는 양립가능론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제 우리에게 남은 계율론적 과제는 제약된 자유의지를 담보하고 있는 마음을 어떻게 확충하여 깨달음에의 지향성을 더 선명하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고, 이 문제는 구체적으로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에서 마음과 계율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여 구체적인 지범(持犯)의 경계를 확립할 것인가 하는 실천적 과제이다. 이 과제는 다시 한국불교의 계율 전통 속에서 계율을 삼학의 본래적 위상으로 격상시키는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과제와 이어지면서 일정 부분 순환론적 고리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이 과제는 마음과 그 마음의 형성과정을 통해 도덕교육을 도덕적 마음의 형성과정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시야를 열어주는 열쇠가 되기도 한다.

목차

국문 초록
 I. 자유의지의 문제와 불교
 Ⅱ. 깨달음을 향한 수행 방법으로서의 계율과 승가공동체
 Ⅲ. 한국불교 계율관의 특징과 자유의지의 문제
  1. 한국불교 계율관의 특징적 요소: ‘견성(見性)과 파계(破戒) 사이’
  2. 계율의 지범(持犯)과 마음, 자유의지
 Ⅳ. 도덕적 마음의 형성과정으로서의 도덕교육
 참고 문헌
 

저자정보

  • 박병기 Pak, Byung-Kee.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