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Until now the fidelity perspective of subject matter predominates in the class observation. But now it is time to understand the classroom instruction on the basis of the situated perspective of situated learning.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complexity and uncertainty of classroom instruction and reality of schooling with the fidelity perspectiv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ituated Learning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which is an epistemological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cognitive psychology and began to draw scholarly attention worldwide in the 1980s. For this,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philosophy, major concepts, cognition and learning of Situated Learning. Through this, the classroom life in school is the same with everyday life and simultaneously there is a situated activity which is very special and distinguishing in there. Also it is need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class observation afresh through the grasp of the instruction based on situation.
한국어
지금까지는 교실수업을 교과 충실도의 관점으로 바라보았다면 이제는 새로운 인식론인 상황학습론을 기반으로 하여 상황적 관점으로 교실수업을 이해 할 때가 되었다. 교실수업의 복잡성과 불확실성은 충실도의 관점으로는 설명하기 역부족일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학교교육의 현실을 조망하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교실수업을 새롭게 이해하기 위해 전통적인 인지 심리학의 대안이 되며1980년대 들어서 주목받고 있는 상황학습론(Situated Learning)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탐색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상황학습론의 철학, 주요 개념, 상황학습론에서 바라보는 인지와 학습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교 및 교실생활은 일상과 마찬가지이지만 동시에 특수하게 구별되는 상황구속적인 활동이 있음을 파악하여 학교와 교실상황의 특수성을 탐색한다. 또한 상황에 기반한 수업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여 수업을 새롭게 바라보는 토대를 마련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수업을 이해하는 인식론적 프리즘: 상황학습론
1. 상황학습론의 철학
2. 상황학습론의 주요 개념
3. 상황학습론에서의 인지와 학습에 대한 인식
Ⅲ. 특수한 맥락을 구성하고 있는 학교
1. 문화적 가치를 실천해 나가는 실천공동체로서의 학교
2. 상황에 기반한 수업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