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s Effect on OCBs of the Followers - Focused on Public Employees in Kyungnam Province -

원문정보

상사의 정서 지능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Park, Cheol-Mi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EI and employees' OCBs in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this study was to review whether thos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identified as powerful determinants of variation in public employees' OCBs. The correlation between EI and OCBs in this study was both highly significant(p= .000) and substantial, which is indicative of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EI and OCBs, sequently resulting in organization outcomes in local government and meaning that all of the associated Pearson r correlations are indicative of possessing a significant and substantial relationship with OCBs. On the one hand, in the analysis of t-Test for hypotheses on whether a higher degree of EI will explain OCBs more than a low degree of EI, OCBs were more positively affected by high versus low levels of EI(p < 0.05).

한국어

조직의 효과성은 조직 구성원의 의지와 노력에 의존하며, 이를 높이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가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이다.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에 의해 개인이 공식적으로 수행해야 할 업무와 관련된 행동은 아니지만, 조직의 입장에서 보면 조직의 발전을 위해 바람직한 행동들이다. 조직의 구조중심적 접근의 한계가 나타나고 있는 현대 조직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으로서 구성원의 심리적 요인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조직 구성원들의 심리적 욕구 충족을 시켜 주는 방안으로 리더의 정서 지능이 중요한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관 특히 리더의 정서적 능력(emotional intelligence)이 중요하다고 보고, 리더의 정서 지능과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간의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지역에 근무하는 공무원들(리더, 구성원)을 대상으로 경험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특히 조사에 참여한 리더(5급 이상 전제) 103명, 구성원(5급 미만 전제) 339명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artline & Ferrell(1996)의 연구에 따라, 구성원(부하)용 설문지를 산술평균을 통해 총합(aggregated)하였으며, 3명의 구성원이 리더 1명과 조합되었다. Hartline & Ferrell은 병원서비스 종사자의 관리에 관한 단일연구에서 의료진을 중심으로 간호사, 환자들의 응답을 산술평균을 통해 총합함으로써 이들 3개 집단의 평가를 경험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이론적 논의를 통해 분석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변인들간의 영향경로를 분석할 수 있는 인과모형을 작성하고, 둘째,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 경험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효율적인 조직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리더의 정서적 능력이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구성원들의 자발적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리더의 정서적 능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목차

요약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and Hypotheses
  1. Literature Review
  2. Hypotheses
 III. Methodology
  1. Participants and Procedures
  2. Measures
  3. Analysis
 IV. Empirical Results
  1. Reliability
  2. Testing of Hypotheses
 V. Discussions
 References

저자정보

  • Park, Cheol-Min Jeju College of Technolog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