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순자의 인성론에 대한 한 해석

원문정보

An Interpretation on Xunzi's Theory of Human Nature

김성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is the defense of Xunzi's theory that human nature is evil. Nowadays his theory is often interpreted as one that human nature is value-neutral, which is contrary to Xunzi's manifest declamation. This kind of interpretation seem to be resulted from the different perspective from Xunzi's on the evil of human nature. While Xunzi means the evil in the social situation with the expression 'evil', the interpreters have in mind the evil in the individual or general situation with it.
What Xunzi means with the clause that human nature is evil is the fact that the negative effect happen when human follows the desire of his nature in the social situation. Xunzi point out these negative effects as the disharmony between desire and resource, and the disorder which is accompanied by such disharmony. According to Xunzi's theory that human nature is evil, humans nature is negative to the harmony between desires and resource and leads to the disorder.
The interpretations which regard Xunzi's theory as value-neutral are not consistent with Xunzi's original intention, because those impose the responsibility for the disorder on the shortage of the resource, not on the human desire. Those could be preferred by the contemporary atmosphere which regards the human nature as what should be realized, not as modified. However, Xunzi refuses this understanding on human nature. He wants to impose the responsibility for poverty and disorder, not on the nature but on the human, because he believes man can be liberated from poverty and disorder by the change of his nature through learning the regulative rules. Today, we hardly discover the similar attitude to Xunzi except the Amish in North America.
Xunzi's premise that the human nature is evil draws his conclusion that the human nature should be changed with the regulative rules. Xunzi himself anticipate such a question how human can have the regulative rules which originally does not exist in human nature. Xunzi explain it out by the reference of the enlightened self-interest which is repeated by Thomas Hobbes. The interpreters who doubt about the coherence of Xunzi's theory criticize that this explanation is not sufficient. According to anthropological explanation, however, human nature is not invariant, but given as incomplete and later completed by cultural socialization. Naturalism which emphasizes the given human nature and its criticism against the culturalism is not just according to the anthropological knowledge.
Xunzi's theory on human nature factually shows the limitations of his times and of the negligence of the aspect of good human nature. However the significance of his theory for us is the recalling the fact that the human virtue given through the indoctrination changes the animal being into the human being and could be the more essential part of human nature in that sense.

한국어

이 글은 성악설로서의 순자의 인성론에 대한 옹호이다. 오늘날 때로 순자의 인성론은 그의 명시적 표명과 달리 성중립설로 해석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순자가 말하는 악을 순자가 의미하는 사회적 악이 아니라 개인적 악이나 일반적 악으로 해석함으로써 생겨난다. 순자가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고 말할 때, 그가 의미하는 것은 사회적 삶에서 본성적인 욕망을 따르면 악한 결과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순자는 특히 이러한 악한 결과를 욕망과 재물의 부조화와 그로 인한 무질서로 파악했다. 그러므로 순자의 성악설은 사람의 본성이 욕망과 재물의 조화에 부정적이며 결과적으로 무질서를 가져온다는 주장이다.
순자의 인성론을 성중립설로 해석하는 것은 순자의 본의에 어긋나는 일이 되는데, 왜냐하면 이럴 경우, 무질서의 일차적인 책임이 인간의 욕망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재물이 부족한 데에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인간의 본성을 교화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실현해야 할 대상으로 보는 오늘날의 사유방식에서 이러한 해석은 선호될 수 있지만, 순자의 취지는 바로 이러한 입장을 거부한다. 순자는 빈곤과 무질서의 책임이 자연이 아니라 인간에게 있으며, 따라서 인간을 예의 를 통하여 교화시킴으로써 빈곤과 무질서로부터 자유롭게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오늘날 이러한 성악설적인 태도는 미국의 아미쉬 사람들을 제외하곤 찾아보기 어렵다.
순자의 성악설이라는 전제는 예의를 통한 본성의 변화라는 결론을 갖는다. 본성에 없는 예의를 어떻게 인간이 가질 수 있는가라는 질문은 순자 자신이 이미 예상하고 있었던 질문이었다.
순자는 나중에 홉스에 의해 전개된 것과 같은 계몽된 자기이익에 의해서 인간이 본성과 배치되는 예의를 갖게 된다고 설명한다. 순자의 인성론의 정합성을 의심하는 연구자들은 이러한 설명이 충분하지 못하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철학적 인간학에 따르면 인간의 본성은 불변적인 것이아니라 미완성적인 상태로 주어지며 문화적으로 완성되는 것이다. 인간의 본성만을 강조하는 자연주의와 이러한 자연주의에 의거한 문화주의에 대한 반론은 인간학적 지식에 따르면 적절한 것이 아니다.
순자의 인성론은 사실 시대적 한계성과 함께 인성의 성선설적인 측면을 간과한 점 등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자연적 본성에 덕성이 갖추어짐으로써 비로소 동물적인 인간이 인간다운 인간이 된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덕성이 본성보다 오히려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측면이라는 점을 상기시켜 준다는 점에서 그 현대적인 의의를 갖는다.

목차

요약문
 1. 순자와 현대
 2. 인간의 본성은 가치중립적인가?
 3. 순자는 왜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주장하는가?
 4. 성중립설의 관점
 5. 성악설의 관점
 6. 예의는 계발되는 것인가 개발되는 것인가?
 7. 선하고자 하는 의지
 8. 제2의 본성으로서의 예의
 9. 순자 인성론의 현대적 의의
 10. 순자의 인성론의 한계들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성동 Kim, Sung-Dong. 호서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