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Research on the Post-Media Discourse as an Alternative Solutions for the New Media Art
초록
영어
The research focuses on the discourses and perspectives regarding "post-media" phenomena brought by the digital revolu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New Media Art throug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Internet. Perspectives from theorists and art critics including Peter Weibel, Lev Manovich and Rosalind Krauss will be introduced and compared in oder to define the definition and the conditions of "post-media". Based on the very recent publication of Domenico Quaranta and Nicolas Bourriaud, the significance of post-media perspective in the development of the New Media Art from its birth to the growth and the alternative suggestions regarding to the crisis of New Media Art will be proposed.
한국어
본 연구는 90년대 후반 디지털 미디어와 인터넷의 발전이 가지고온 디지털미디어의 혁명과 뉴미 디어아트 의 성장 이후 도래한 오늘날의 포스트미디어 현상에 대한 의견과 담론을 소개 하고, 뉴미디어 아트가 현재 대면하는 미술 시장에서의 자리매김에 대한 위기성과 대안적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피터 바이벨, 레 브마노비치, 로절린드 크라우스등이 포스트미디엄 또는 포스트미디어로 표현한 미디어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견해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포스트미디어에 대한 정의와 조건들을 짚어보고, 뉴미디어 아 트의 발생과 성장 그리고 위기 과정에서 포스트미디어 담론이 가지는 시사점과 대안적 견해를 도메니코 콰란타와 니콜라스 부리오의 최근 저술을 통해 도출해 본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글
2. 두 개의 평행한 세계
1) 레브 마노비치의 드샹랜드 vs 튜링랜드
2) 에드워드 생켄의 MCA vs NMA
3) 과란타의 뉴미디어아트의 대안적 시각으로서의 포스트미디어
3. 포스트미디어 담론의 기원과 발전
1) 포스트미디어의 정의
2) 포스트미디어 담론의 발전
3) 래디컨트 아트
4) 포스트미디어 담론의 공통된 주요 개념
5) 대안적 시각
4. 마치는 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