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인권교육 관련 내용 분석 : 1·2·3 세대 인권의 관점에서

원문정보

The analysis of human rights education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y textbooks. : Focusing on the three generations of human rights

이정주, 성열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variation and rate changes of three generations of human rights in the 6th, 7th and 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by making analysis standard including the 1st, 2nd and 3rd generations of human rights referring to Kerel Vasak’s ‘the three generations of human rights’ and by analyzing the 6th, 7th and 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s. All three generations of human rights were inherent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from the 6th national curriculum. Even though the total amount of three generations of human rights were not remarkable, direct expressions regarding human rights education and learning as a right increased in all three generations of human rights.

한국어

사회과 교육과정에서의 인권 교육이 등장하게 되면서 교육 분야에서의 ‘인권’ 관련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기존의 ‘인권’ 관련 교육과정 분석 연구 중 상당수가 1·2세대 인권에 ‘환경권’만 추가된 인권위원회의 인권 분석 체계를 이용하고 있어 3세대 인권 관련 내용 분석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권론의 대표적 구분법인 카렐 바작(Karel Vasak)의 ‘인간권리 3단계론’을 참고하여, 1·2세대 인권 뿐 아니라 3세대 인권까지 포함한 분석틀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6차·7차·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있어 각 세대별 인권의 증감 변화와 비율 분포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6차 교육과정 이래로 모든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각 세대별 인권의 요소가 내재되어 왔으며,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각 세대별 인권 내용의 총량의 차이는 두드러지지 않았지만 인권 교육의 직접적인 표현과 권리로서의 학습은 1·2·3세대 인권 모두에서 증가하는 등 질적으로 성장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초등 사회과교육과 인권교육
  2. 인권에 대한 논의
  3. 카렐 바작(Karel Vasak)의 인간 권리 3단계론
 III.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2. 분석 틀
  3. 분석 방법
 IV. 분석 결과 및 고찰
  1) 세대 인권 분석 결과
  2) 세대 인권 분석 결과
  3) 세대 인권 분석 결과
 IV. 결론
 참고문

저자정보

  • 이정주 Lee, Jung-Joo. 홍익대학교
  • 성열관 Sung, Youl-Kwansung.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