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Case Study on Metaphors of Gender Pictogram
초록
영어
The symbols that distinguish sex is generally expressed through physical signs that are old-fashioned and generalized. However, in the changing society, restrictions and customs has loosened. Due to such changes, the gender identity has dissolved and this has resulted in ambiguousness in external expressions that describe men as muscular and strong, women as beautiful. Pictogram which is often seen in society is changing gradually by historical background and cultural diversity. For this reason, the communication between senders who try to send information and receivers who try to gather information is hardly understandable. Especially, pictogram which is distinguished by the sex is changing dramatically like the times. The fad that the pictogram is used as one way of the Space Design work with characters and is changed to an abstractive and characteristic pictogram from the old fashioned pictogram is increasing Thus, this study is about the diagramed pictogram rules by the new sex distinction and the means we should learn. And I would like to study the learned pictogram show that is stamped in in-depth consciousness once like letters then automatically offer the information easily by the diverse case analysis inside or outside of country.
한국어
세계 공용어라고 할 수 있는 픽토그램도 다변화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과 문화적 다양성에 맞게 점차 변화하고 있다. 특히 성을 구별하는 픽토그램은 급격히 변화하는 시대적 상황에 맞게 빠르게 변화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정보의 전달을 위한 발신자와 정보 입수를 위한 수신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들이 생겨나고 있다. 시간 흐름에 따라 새롭게 탄생하고 있는 성 구별에 따라 도식화된 픽토그램을 도상적 메타포, 지표적 메타포, 그리고 상징적 메타포와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국내외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통해 연구해 보았다. 그 결과 신체적, 형태적, 문화적, 공간적, 그리고 상징적이고 추상적인 모티브를 사용하여 획기적이고 퍼포먼스적인 시각 이미지로 남성과 여성을 표현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기존의 픽토그램은 경험의 지식을 근거하여 지식 정보를 쉽게 인지하였으나 새롭게 만들어진 픽토그램은 정보를 전달받기 이전에 당혹감을 먼저 받게 되며, 이것으로 정보의 이해와 해석이 힘들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성 구별 픽토그램의 규칙은 시대 흐름에 따른 연결성, 보편성과 추상성에 대한 특성, 그리고 비교와 대입 등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얻으려는 학습의 노력이 필요하며 학습을 통한 경험을 제대로 이해하고 행동에 옮긴다면 이것이 또 하나의 새로운 지식으로 받아지게 되는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2. 성(性) 표현의 상징화
2.1. 시각표현에 따른 성 (性) 구별
2.2. 상징적 형의 유형과 의미작용
3. 픽토그램에 나타난 시각적 신체 메타포
3.1. 시각언어의 지각메커니즘
3.2. 시각적 메타포의 신체 조형성
4. 픽토그램의 그래픽 메타포 유형 분석
4.1. 직접적 형태의 ‘도상적 메타포’
4.2. 실제성 모티브 ‘지표적 메타포’
4.3. 자의적 약속의 ‘상징적 메타포’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