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hemical Composition and Lead Isotope Ratio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Eunpyeong Newtown Site
초록
영어
This paper presents investigations on 60 glass beads excavated from floorless tombs of Eunpyeong Newtown site to figure out composition and lead isotope ratio by SEM-EDS and TIMS, which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compositions and Pb provenance of lead glass. The results of the composition analysis are that excavated glass are mainly divided into Potash glass(K2O-CaO-SiO2) and Potash-lead glass(K2O-PbO-SiO2) and the samples excavated from III-3 floorless tombs No.1005 are presumed not glass but Quartz. The transparent 9 lead glasses excavated from II-3 floorless tomb No.101 and III-3 floorless tomb No.908 seem to be manufactured by the same raw material at same site because the concentration of their compositions are well accorded with each other and deviations of them are very limited. As a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glass beads excavated are largely assort to two groups, Potash glass and Potash lead glass as well. That is, glass beads excavated from Eunpyeoung Newtown sites are quite different two types of main composi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Pb provenance analysis used in lead glass confirm that most lead glas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alena of northern China.
한국어
은평 뉴타운 유적 토광묘에서 출토된 유리구슬 60점에 대하여 성분조성, 납동위원소비를 주사전자현미경-에너지분 산형분광기와 열이온화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성분조성별 차이점과 납유리를 제작할 때 사용한 납의 산지를 추정코자 하였다. 성분조성을 분석한 결과 출토유리는 크게 포타쉬 유리(K2O-CaO-SiO2)와 포타쉬납유리(K2O-PbO-SiO2)계통으 로 분류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Ⅲ-3지구 1005호 토광묘에서 출토된 시료는 유리가 아니라 석영으로 판단된다. Ⅱ-3지구 101호 토광묘와 Ⅲ-3지구 908호 토광묘에서 출토된 무색투명한 9점의 납유리는 성분조성이 매우 일정하며 오차가 작아 동일한 원료로 동일 장소에서 함께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주성분분석(PCA)결과에서도 출토된 유리구슬은 크게 두 개의 그룹인 포타쉬 유리(K2O-CaO-SiO2)와 포타쉬납유리(K2O-PbO-SiO2)로 나뉘어진다. 즉, 은평 뉴타운 유적은 주요 성분조 성이 상이한 두 계통의 유리구슬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납동위원소비를 분석하여 납유리를 제작할 때 사용한 납의 산지를 추정한 결과 대부분의 납유리는 중국 북부 지역의 방연석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1. 머리말
2. 분석내용
2.1. 시료 준비
2.2. 비중측정
2.3. 전자현미분석
2.4. 열이온화질량분석(TIMS)
3. 결과 및 고찰
3.1. 유리구슬의 성분조성
3.2. 주성분분석(PCA)에 의한 유리구슬의 분류
3.3. 납동위원소비
4.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