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Tutor's Roles,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in Online Discussion
초록
영어
The tutor's roles have been recognized as an influential variable o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in online discussion. Since online discussion is a kind of academic communication based on social presence, social presence could be considered as the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tutor's roles(instructive, social, managerial, and technical roles) and learning outcomes(discussion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learning achievement) in online discuss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tutor's roles,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in online discussion.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res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tutor's roles and learning outcomes. 71 graduate students of K online university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eight weeks.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only perceived tutor's social role predicted the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significantly, and social presence had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tutor's social role and learning outcomes.
한국어
본 연구는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의 역할이 학습과정과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사회적 실재감을 학습과정 변인으로, 참여도, 토론만족도, 학업성취도를 학습결과 변인으로 상정하여 이들 세 변인들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10학년도 1학기 K 원격대학교 평생대학원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71명을 대상으로 약 8주 동안 온라인 토론 수업을 진행한 후, 인식된 튜터의 역할(사회적·교수적·관리적·기술적 역할), 사회적 실재감, 학습결과(참여도, 토론만족도, 학업성취도) 자료를 수집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식된 튜터의 역할 중 사회적 역할은 사회적 실재감(β = .820), 참여도(β = .559), 토론만족도(β = .667), 학업성취도(β = .334)를 각각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의 사회적 역할이 참여도, 토론만족도, 학업성취도를 예측할 때 이들을 매개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규명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토론 참여자들의 결속력과 공동의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튜터의 사회적 역할이 강조되어야 하며, 토론 학습 과정 중에 튜터가 학습자들의 사회적 실재감을 높여 줄 수 있도록 지원하여 궁극적으로 토론 학습의 결과를 향상시키는 튜터 훈련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이론적 배경
1. 온라인 토론 학습의 의의
2. 튜터의 역할
3. 사회적 실재감
4. 관련 선행 연구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 분석 방법
IV. 연구 결과
1. 인식된 튜터의 역할, 사회적 실재감, 학습결과와의 기술통계
2. 인식된 튜터의 역할, 사회적 실재감, 학습결과와의 관계
3. 인식된 튜터의 역할이 사회적 실재감, 학습결과에 마치는 영향에 대한분석
4. 인식된 튜터의 역할과 학습결과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효과 분석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