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feedback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ies enriching public education which have been carried out as one of sub-policies of 3·20 Relaxation Plan of Private Education, and to suggest useful information to the government when they plan new private education policies targeting teachers in futur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randomly selected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the overheated areas in private education, and 160 of teachers and 608 of parents were finally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① Teachers tend to think teacher evaluation system more positively, when they are in the middle or high schools than those in elementary schools, they have 10 or less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than they have 11 years or more of those, and they are in their thirties or fifties of ages than those in their forties, ② Male teachers evaluate their expertises in their teaching more highly than female teachers do, ③ Beginning teachers, rather than junior or senior teachers, think more classroom management by students' achievement levels as an effective way of instruction, ④ Parents of students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ies enriching public education more highly than teachers do. At the end of this paper, the study suggests a few ideas of private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한국어
본 연구는 3·20 사교육 의존도 완화 방안 중 하나인 공교육 내실화 추진정책이 교사들의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를 이해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교육 정책 기획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사교육과열지역으로 알려진 대치동, 중계동, 목동의 9개 초․중․고등학교에 소속된 교사(180명)와 학부모(608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교급별, 지역별, 성별, 교직경력별, 연령별 정책효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원평가에 대해 중․고등학교 소속이거나, 교직경력 10년 이하의 교사 또는, 40세 이하 및 51세 이상의 교사들이 좀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교과 전문성에 대한 자기평가는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았다.
셋째, 수준별수업의 사교육감소효과에 대해 교직경력 10년 이하의 교사가 다른 교사들보다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끝으로, 교사와 학부모 간 비교 결과, 전반적으로 학부모들이 교사들보다 정책의 효과성을 인정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학부모들보다 교사의 교과 전문성과 수준별수업의 사교육감소효과를 높게 인식하는 반면, 학부모들은 교원평가와 교사들의 수업의 질 향상으로 인한 사교육감소효과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선행 연구 검토
1. 공교육의 질과 사교육 수요와의 관계 분석 연구
2. 사교육 수요와 교사 특성과의 관계 분석 연구
3. 사교육 경감을 위한 공교육 경쟁력 향상 방안관련 연구
4. 공교육 내실화 방안으로서의 교원평가 관련 연구
I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표집
2. 측정도구 및 자료 분석
3. 연구의 한계점
IV. 연구결과
1. 교사의 인식에 대한 분석
2. 학부모의 인식에 대한 분석
3.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차이 분석
V. 토의 및 결론
1. 토의
2. 결론
3.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