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포트폴리오 증거자료를 활용한 체육수업의 변화

원문정보

The Change of the P.E-Instruction Using the Portfolio Evidence

황시우, 조한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through the change of the P.E-instruction. using the portfolio evidence. The detailed research methods to proceed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How the students recognize the P.E. when the portfolio is applied to the students? What was the feature of the students in their academic activities? How's the students' response to the teachers' advice? I have selected a 6 grade class in Suji, Yong In to research the unique class culture when applying the portfolio to the class.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is study, I have done three times of pre-experiments. And the finished portfolio has applied to the volleyball class six times. The data has been gathered through video recording, observing the student, and the reflection on one's behavior. I have performed the inductive category analysis to analyze the conception change on the class, academic activities, and the responses to the teachers' advice. To gain the feasibility on the data, I have used the triangulation, deep description, and references. The conclusions I have achieved are as followings. First, when it comes to the students' conception change,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improved ability. They also got more and more interest in P.E. And some students consider making their portfolio interrupting the P.E. Second, the students have shown the change in their activities. This change includes the self-reflection for themselves. It also affect students' memory on the class itself. And they can find their hidden ability through the class. Finally, they recognize the unfair evaluation among acquaintances. Finally, some students feel the appreciation on teachers' advice with viewing their improvement through teachers' help while the others still consider the teacher's advice a kind of small talk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포트폴리오 증거자료를 활용한 체육 수업의 변화를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 증거자료를 체육 수업에 적용했을 경우 나타나는 독특한 수업 문화를 살펴보기 위해 용인시 수지구 S초등학교 6학년 1개 반을 선정하였다. 포트폴리오 증거자료의 타당성을 점검하기 위해서 3차례의 예비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예비 연구를 통해 완성된 포트폴리오 개인과제를 6차시 간이 배구 수업에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비디오 촬영, 참여 관찰, 심층 면담, 반성일지를 통해 이루어졌고 체육 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학습 활동, 교사 조언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귀납적 범주 분석을 하였다. 자료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삼각 검증 법, 심층적 기술, 참조 자료의 사용 등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생들의 체육 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자신의 실력이 늘어가는 것을 보며 보람을 느끼는 뿌듯함, 체육 수업에 점점 흥미를 느껴가는 좋아지는 체육 수업, 포트폴리오 증거자료를 작성하는 시간이 운동 시간에 대한 침범이라고 느끼는 인식 등의 변화가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학습 활동에 대한 변화는 자기반성의 도구로 쓰이는 나를 볼 수 있는 거울, 지나간 수업을 돌아 볼 수 있는 기억에 남는 수업, 미처 알지 못했던 자신의 소질을 발견하는 소질 계발, 정직하지 못한 눈속임인 친하면 좋은 평가 등이 있었다. 셋째, 학생들의 교사 조언에 대한 반응에는 교사의 조언을 통해 자신의 문제점이 개선되는 것을 보고 고마움을 느끼는 아동과 반면에 자신의 수준이 발전되지 않고 그대로 머물러 있거나 똑같은 소리의 반복으로 느끼는 경우 교사의 조언을 잔소리로 느끼는 아동들이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의 대상
  2. 예비연구
  3. 연구내용
  4. 포트폴리오 증거자료 적용 수업
  5. 자료 수집
  6. 자료 분석
  7. 자료의 타당성 확보
 Ⅲ. 체육 수업에 대한 변화
  1. 뿌듯함
  2. 좋아지는 체육 수업
  3. 운동 시간에 대한 침범
 Ⅳ. 학습 활동의 특성
  1. 나를 볼 수 있는 거울
  2. 기억에 남는 수업
  3. 소질 발견
  4. 친하면 좋은 평가
 Ⅴ. 교사의 조언에 대한 반응
  1. 고마움
  2. 잔소리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시우 Hwang, Si Woo. 한터초등학교
  • 조한무 Cho, Han-Moo. 경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