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tories about social circumstances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tic disorder. The subject was an eight-year-old boy, diagnosed as high-functioning autistic disorder. He has been observed twice a week, and intervention ran for 40 minutes. An ABA design was adopted, which was a single-subject design, and their social interaction behaviors was observed during 20-minute free play in each of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retention period. The target behaviors were identified and defined for measurement purpose. The target behaviors included social initiative behaviors. of the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requesting, naming-) and social response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participating in play, hel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ories about social circumstance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initiative behaviors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tic disorder. Second, the stories about social circumstances were also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response behavior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tic disorder.
한국어
본 연구는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 프로그램을 통하여 고기능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으로 DSM-Ⅳ, CARS에 의해 자폐 장애로 진단된 아동 중 Tsai의 고기능 자폐 장애의 진단 범주를 적용하여 일반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남자아이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기초선은 2010년 3월 22일부터 3월 29일까지 3회기 측정되었고, 사회 상황이야기 중재 프로그램은 4월 5일부터 7월 7일까지 27회기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유지기간으로 7월 12일부터 7월 28일까지 4회기 측정되어 총 34회기가 진행되었다. 또한 연구의 설계는 실험 전, 후 본 연구자와 보조 관찰자 1명이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총 34회기 중 50%에 해당하는 회기에 대한 관찰자간 신뢰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 사회 상황이야기 중재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문제
3. 용어의 정의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설계
4. 자료 처리
5. 관찰자간 신뢰도
Ⅲ. 연구결과
1. 사회적 시도행동에 미치는 영향
2. 사회적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Ⅳ.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