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양강댐 건설에 따른 주변 식생의 변화

원문정보

Change of the Vegetation Due to Soyanggang Dam Construction

최호, 박필선, 김재근, 서심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st of investigations about the effects of dam construc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have focused mainly on the change of climate conditions and crop production. In order to research the effect of dam construction on the surrounding vegetation, we chose the Soyanggang dam whose storage capacity is the largest in Korea, and was built 33 years ago.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surrounding vegetation by using quadrat method and measured the soil moisture content among floodplain (FP), 5m above the flood plain (AFP) and control group (CG) which is 3km far from the lake through ridge. The largest value of mean importance percentage of the canopy~understory layer at FP was Salix koreensis (87.9%) and those of AFP and CG was Quercus mongolica (38.9% and 40.4% respectively) and the largest important percentage of the herb layer at FP was Artemisia capillaris (34.2%) and those of AFP and CG was Oplismenus undulatifolius var. undulatifolius (9.4% and 24.6% respectively). The Shannon-Wiener diversity index of shrub~canopy layer at FP (0.26) was lower than AFP (2.34) and CG (2.23) and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rb layer among three groups. The Sørensen similarity index between FP and AFP, FP and CG was 0, and that of AFP and CG was relatively high. The highest density of tree and subtree with the DBH level of FP was S. koreensis of 5~10cm (240/㏊), and that of AFP and CG was Quercus spp. of 15~20cm (400/㏊ and 466/ha respectively). And the highest density of seedlings of FP was Pinus densiflora (7,040/㏊), and that of AFP and CG was Quercus spp. (720/㏊ and 400/㏊ respectively). The soil water content of FP (6.28%) was relatively lower than AFP and CG (11.13% and 10.14% respectively; p<.0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onstruction of Soyanggang dam changed the vegetation of the floodplain, without showing a change in its upland areas.

한국어

댐 건설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주로 기후와 농산물에 초점이 맞추어져 연구되어왔다. 본 연구는 댐 건설에 따른 주변 식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 장소를 준공 후 33년이 지났으며, 저수용량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소양강댐으로 선택하였다. 소양호의 범람지, 범람지보다 고도가 5m 높은 범람지 위쪽, 그리고 호수로부터 능선을 사이에 두고 3㎞이상 떨어져 있는 대조구에서 방형구법을 통한 식생과 토양함수량 조사가 이루어졌다. 관목층~교목층의 평균상대우점치는 범람지는 버드나무(87.9%)가, 범람지 위쪽과 대조구는 신갈나무(38.9%, 40.4%)가 가장 높았으며, 초본층의 상대우점치는 범람지에서는 사철쑥(34.2%)이, 범람지 위쪽과 대조구에서는 주름조개풀(19.4%, 24.6%)이 가장 높았다. Shannon-Wiener 종다양도 지수는 관목층~교목층에서 범람지(0.26)가 범람지 위쪽(2.34)과 대조구(2.23)보다 낮았으며(p<.01), 초본층에서는 3 모둠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Sørensen의 군집유사도 지수는 범람지와 범람지 위쪽, 범람지와 대조구에서 낮았으며, 범람지 위쪽과 대조구는 비교적 높았다. 교목과 아교목의 흉고직경별 개체수는 범람지에서 5~10㎝인 버드나무(240/㏊)가, 범람지 위쪽과 대조구는 모두 15~20㎝인 참나무속 식물(400/㏊, 466/㏊)이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다. 치수는 범람지에서 소나무(7,040/㏊)가, 범람지 위쪽과 대조구는 모두 참나무속 식물(720/㏊, 400/㏊)이 가장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토양함수량은 범람지(6.28%)가 범람지 위쪽(11.13%)과 대조구(10.14%)에 비하여 낮았다(p<.01). 조사 결과, 소양강 댐 건설로 인해 범람지는 식생이 변하였지만, 그 바로 위쪽에서는 식생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2.1 조사지 개요
  2.2 방형구의 위치
  2.3 조사 및 분석 방법
 3. 결과
  3.1 층상구조 단면도와 층별 식피율
  3.2 층별 상대우점치와 평균상대우점치
  3.3 종다양도와 군집유사도
  3.4 교목과 아교목의 직경급 빈도
  3.5 교목성 종의 치수 밀도
  3.6 토양함수량
 4. 논의
  4.1 댐 건설이 범람지의 식생에 미치는 영향
  4.2 댐 건설이 범람지 위쪽의 식생에 미치는 영향
  4.3 범람지의 관리방안
 5.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호 Ho Choi.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환경교육협동과정 석사과정
  • 박필선 Pil Sun Park.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교수
  • 김재근 Jae Geun Kim.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교수
  • 서심은 Sim Eun Suh.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