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탈모가 인상형성 및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n Hair Loss for Impression Format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김다희, 김성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utward appearance is considering seriously in modern society. Hair style is working for an important factor to express of each individuality and taste by changing the outward forms in today. However, hair loss is one of the problems du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Is caused by hair loss that forms the negative image in social activity, confidence loss and adult evasion symptoms, even until suicide brings about sever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air loss for the negative social impression format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People who have experienced hair loss, a survey was conducted. As a result, people experienced the negative social impression format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by hair loss. Therefore activation of psychotherapy, love and attention around to give a sense of belonging and stability the power to effectively deal with hair loss would have to offer.

한국어

현대사회에서 외모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헤어스타일은 각각의 개성과 멋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외형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발달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나타나게 되었고 그 중에서 하나가 바로 탈모이다. 탈모는 사회적 활동을 하는데 있어 부정적 이미지를 형성시켜 자신감을 상실하게하고, 대인기피증이나 심지어는 자살까지도 초래하게 한다. 탈모로 인하여 지각되는 부정적인 사회적 인상형성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봄으로써 탈모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심리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하여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과 의의가 있다. 탈모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탈모로 인해 부정적인 사회적 인상을 형성한다고 느끼고, 대인불안을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상형성이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적 치료의 활성화와 주변의 사랑과 관심으로 소속감과 안정을 주고, 앞으로 탈모로 인한 대인불안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연구들을 기대한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탈모
  2. 인상형성
  3. 대인불안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3. 통계처리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다희 Kim, Da-Hee. 서경대학교 미용예술학과
  • 김성남 Kim, Sung-Nam. 서경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