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중등 사회과에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Critical Analysis on the Discussion of Mu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황갑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nceptualiz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hanged after the 1960s. There is still disagreement over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mandate to educate students to have the consciousness toward ending oppression and other forms of injustice is clear, but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in the multicultural literature about the kinds of knowledge that are needed to prepare students for multicultural society. This article discusses the need of paradigm shift from pluralist approach to critical approach for the studie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Because of the continued focus on private troubles instead of on social reform and achievement of equality and equity, the author emphasiz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involve the contents about social structure and critical theory.

한국어

한국사회에 있어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은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급속한 증대에 기인한다. 정부는 2006년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을 마련하였고, 이를 계기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한국의 다문화사회나 교육 정책의 특성에 대한 분석 없이, 다문화가정이나 그들 자녀들의 적응이나 다문화사회 이해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중심으로 한국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비판적 다문화주의 교육을 위해 중등학교 사회과의 교육내용과 다문화교육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중등학교 사회과에서의 다문화교육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한국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의 특성은 보수적이며, 다문화교육은 지배와 피지배의 차별철폐를 위해 모두를 대상으로 해야 하며, 이에 따라 다문화교육의 내용도 구분되어야 한다. 그리고 다문화교육 내용은 교육내용의 객관성, 다문화가정의 민족역사를 고려한 역사교육, 학생의 부적응 현상에 대한 구조적 접근이 강화되어야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II. 다문화사회와 중등 사회과에서의 다문화교육
  1.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
  2. 중등 사회과에서의 다문화교육
 III. 결론
 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황갑진 Hwang, Kap Jin. 경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