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Art Psychotherapy for the private sector over as part of the zone in administrative support services Social Services as part of the major projects, including art therapy and psychotherapy projects customers with a variety of disabilities from the general social welfare is increasing. Subsequent interest in art psychotherapy is pitch is coming. Art Psychotherapy with the client's expertise to provide the high quality of diagnosis and treatment policies for social welfare services' and 'health service' is becoming such direction. This study is related to social welfare policy and Innovative community service projects using the existing paper SWOT analysis. SWOT analysis for Art Psychotherapy and social policy decision-making aspects of the target side (business management expertise and effectiveness) and policy enforcement aspects (foster institutions and art therapist) were analyzed in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As social welfare policy analysis, local service projects: Art Psychotherapy for innovation policy, strongly promoting the health care services and government support for social welfare at the level of Art Psychotherapy and the introduction of competition into foster brother of professional security strategy have been identified.
한국어
최근에 미술치료가 민간영역을 넘어 공공영역의 지역서비스 행정지원 부분으로 사회복지사업 부분의 주요 사업으로 미술치료를 포함한 심리치료 사업을 장애아로부터 일반 사회복지 다양한 수요자들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른 미술심리치료에 대한 관심이 고저 되어오고 있다. 또한 미술심리치료의 전문성을 가지고 내담자에게 진단과 치료의 높은 질을 제공하기 위한 정책으로 ‘사회복지서비스‘와 ‘의료서비스‘ 등으로 방향을 잡아가고 있다. 본 연구방법은 사회복지정책과 관련되어 지역사회서비스 혁신사업을 위해 기존 논문을 사용하여 SWOT 분석을 하였다. SWOT 분석으로 미술치료를 위한 사회복지 정책대상 측면과 정책결정 측면(전문성과 사업관리 효과성) 그리고 정책집행 측면(위탁기관과 미술치료사)에서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정책으로 지역서비스 혁신사업인 미술심리치료는 보건의료서비스 정책 강력추진과 정부차원에서의 미술치료 사회복지적 지원 그리고 경쟁위탁형의 도입으로 전문성 확보 전략들이 도출되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의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미술심리치료의 개념
2. 미술심리치료를 위한 사회복지정책
3. 지역사회서비스혁신사업 개념
Ⅲ. 미술심리치료의 지역사회서비스 실태
1. 치료사의 자격기준
2. 치료사의 근무요건
3. 심리치료 지원사업의 대상유형
4. 심리치료지원사업 관리효과
5. 위탁 실태
6. 지역사회서비스혁신사업의 심리치료지원사업
Ⅳ. 미술심리치료의 지역서비스 분석
1. 연구방법
2. 연구결과
Ⅴ. 결론
1. 정책 대상 측면
2. 정책 결정자 측면(전문성/ 사업관리효과성)
3. 정책 집행자 측면(위탁기관/ 미술치료사)
4. 제언 및 한계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