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회성 중재 방법에 따른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의 통증, 불안 및 우울

원문정보

The Effects of Listening-centered and Singing-centered Single-Session Music Therapy Intervention on Pain,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Gynecologic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김지연, 김영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istening-centered and singing-centered single-session music therapy intervention on pain,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gynecologic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Subjects were 60 gynecologic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in gynecology clinics of S hospital in Seoul. They were randomly into the three groups: the listening-centered group(n=20), singing-centered group(n=20), and control group(n=20). The data collected from 45 subjects(12 from the listening-centered group, 17 from the singing-centered group and 16 from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and 15 subject who were away or did not participate in post-test were excluded. This study consisted of pre-test, intervention, chemotherapy, and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each of the listening-centered and singing-centered single-session music therapy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As a result, the listening-centered single-session music therapy intervention ha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s on pain compared to the singing and the control group (p< .05), while the singing-centered single-session music therapy intervention ha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s on anxiety compared to the listening and the control group (p< .05).

한국어

이 연구는 김지연, 김영신(2009)의 후속연구로, 감상중심의 일회성 음악치료와 노래중심의 일회성 음악치료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의 통증,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의 S종합병원에 입원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 45명으로 감상중심 집단, 노래중심 집단, 휴식집단에 각각 12명, 17명, 16명이 포함되었다. 연구는 2009년 8월 24일부터 2010년 1월 5일까지 감상중심의 일회성 음악치료와 노래중심의 일회성 음악치료, 그리고 음악치료가 배제된 휴식을 중재로 하여 시행되었으며 측정은 모든 집단에 Wewers와 Lowe(1990)가 개발한 통증 측정도구, Spielberger(1972)가 개발하고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안한 상태불안 측정도구, 그리고 Zung(1965)이 개발하고 신석철(1977)이 번안한 우울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음악치료 중재 전, 후로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감상중심의 일회성 음악치료 중재는 통증에, 노래중심의 일회성 음악치료 중재는 불안에 있어 다른 중재보다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연구방법
  대상
  연구 도구
  자료 수집 및 절차
  자료 분석 방법
 결과
  1. 일회성 중재 방법에 따른 통증 점수
  2. 일회성 중재 방법에 따른 불안 점수
  3. 일회성 중재 방법에 따른 우울 점수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연 Kim, Ji Youn. 전주대학교 예술치료학과
  • 김영신 Kim, YoungShin.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