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덕과 교육의 대안적 정당화 방안 연구 : 헤겔의 절대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a alternative Plan to Justify Moral Education : based on G.W.F Hegel's Absolute Knowledge

곽영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n alternative plan to justify moral education through inquiring extrinsic justification and intrinsic justification.
At the level of everyday life, extrinsic justification of moral education means the direction of it that can correspond to the end of individual and social demands. It has limits of the value of the end of individual and social demands and that as a target of academic discussion. Intrinsic justification has undeniable legitimacy in the current situation practiced by public tradition. However, it poses a form inclined to formality due to the limitation of discussion on legitimacy by logical assumptions. Alternative justification is done to the direction which can integrated the merits of extrinsic justification and those of intrinsic justification and overcome a critical situation. The discussion in the form divided into two parts; the end and the means; and public tradition and individual in moral education is an incomplete one which cannot be suggested as a synthesis. The legitimacy of moral education is possible whe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nd and the means, between public tradition and individual, and between abstractness and experience is suggested as circular movements. That is, in the situation of educational practice, the abstractness of public tradition is mingled with the contents of students' private experience through circular movemen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urthermore, the moral education suggested as the means in high level extrinsic justification already show its legitimacy as it is suggested as the end.

한국어

이 연구는 도덕과 교육에 대한 외재적 정당화와 내재적 정당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도덕과 교육에 대한 대안적 정당화 방안을 밝히려한다.
일상수준에서 도덕과 교육의 외재적 정당화는 개인, 사회적 요구라는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도덕과 교육의 방향을 의미한다. 그러나 개인, 사회적 요구라는 목적에 대한 가치와 학문적 논의 대상으로서의 가치에 대한 한계점을 갖는다. 내재적 정당화는 공적(公的)전통(傳統)에 의해 실천하고 있는 현 상황 속에서 거부할 수 없는 정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논리적 가정에 의한 정당성 논의의 한계로 형식성에 치우친 형태를 보인다. 대안적 정당화는 외재적 정당화와 내재적 정당화의 장점을 통합하고 한계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대안적 정당화 방안은 목적에 대한 내재성을 설정하고 수단으로 외재성을 접목시켜 인간 사유에 의한 공적 전통이라는 형식성을 현실적인 내용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덕과 교육에 있어서 목적과 수단으로, 공적 전통과 개인으로 이분화 되어 있는 형태의 논의는 합(合)으로서 제시되지 못하는 불완전한 모습이다. 도덕과 교육의 정당성은 목적과 수단, 공적 전통과 개인, 추상성과 경험성의 관계를 원환 운동으로 제시하였을 때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즉, 교육의 실천 상황은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원환 운동을 통해 공적인 전통의 추상성이 학생 개인의 경험적 내용과 어우러진다. 더 나아가 대안적 정당화에서 수단으로 제시되고 있는 도덕과 교육은 이미 목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정당성을 드러내 보이고 있는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도덕과 교육의 외재적 정당화 개념과 한계
 Ⅲ. 도덕과 교육의 내재적 정당화 개념과 한계
 Ⅳ. 도덕과 교육의 대안적 정당화 방안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곽영근 Kwak, Young-Kuen. 여주 오학초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