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리활성/영양

황기홍국소스를 처리한 계육이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ROS 생성 및 소거계 관련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Chicken Treated with Hwangki-Beni Koji Sauces on ROS Generating and Scavenging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Rats Fed with a High Fat and High Cholesterol Diet

김재원, 김순동, 윤광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ietary effects of chicken treated with Hwangki-Beni Koji sauce (HBS) o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ng and scavenging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rats fed with a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 were investigated. The rats (five rats per group) were divided into a normal control diet group (NC), a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 control group (HFC), HFC plus base sauce-treated chicken supplemented diet group (HFC-BS), and a HFC plus HBStreated
chicken supplemented diet group (HFC-HBS), and fed for 5 weeks. Total type T (T) and type O (O) hepatic xanthine oxidoreductase in HFC-HBS were 27.91-35.78% and 24.57-31.84% lower than those of HFC and HFC-BS, respectively. In HFC-HBS compared with HFC and HFC-BS, superoxidase dismutase activity was 62.89-64.50% higher,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was 19.29-25.17% higher, glutathione content was 25.11-53.30% higher, and lipid peroxide content was 20.29-24.19% lower. Therefore, chicken treated with HBS may prevent liver damage by the ROS
formed from a high-fat and high -cholesterol diet.

한국어

황기열수추출물(WEH)과 홍국 70% 에탄올추출물(EEB) 및 Monascus pilosus 액침배양액(LBK)을 동결건조한 등량 혼합물을 일반 닭고기 베이스소스에 0.225% 첨가한 황기홍국소스(HBS)를 처리한 계육의 식이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병행식이 흰쥐의 ROS생성 및 소거계 효소류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정상군(NC), 고지방-고콜레스테롤 대조군(HFC),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베이스소스를 처리한 계육을 15% 첨가한 식이군(HFC-BS) 및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황기홍국소스를 처리한 계육을 15% 첨가한 식이군(HFC-HBS)으로 구분하여(5마리/군) 5주간 사육하였다. 체내 활성산소를 생성하는 xanthin oxidoreductase O type 활성은 HFC군에 비하여는 31.84%가 HFCBS군에
비하여는 24.57%가 각각 감소되었다. Superoxide dismutase 및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은 HFC-HBS군이 HFC군 및 HFC-BS군에 비하여 각각 25.17-64.50% 및 19.29-62.89%가 증가하였다. 활성산소에 소거에 관여하는 glutathione의 함량은 HFCHBS군이 HFC군 및 HFC-BS군에 비하여 각각 3.30% 및 25.11%가 증가하였으며,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은 각각 20.29% 및 24.19%가 감소되었다. Glutathione peroxidase 및 catalase 활성은 각각 41.29-41.87% 및 22.91-23.44%가 증가하였다. 이
상의 결과 황기홍국소스를 처리한 계육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병행식이 하에서도 활성산소 생성계 효소 활성을 감소함과 동시에 소거계 활성을 높힘으로서 간조직 손상을 예방 및 치유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재료 및 시약
  베이스소스 및 황기홍국소스
  소스를 처리한 계육의 제조
  동물실험
  분석시료의 채취
  간 조직의 XOD, SOD 및 GST 활성
  간 조직의 GSH 및 LPO 함량
  간 조직의 GPX 및 CAT 활성
  단백질 함량 측정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간 조직의 XOD 활성
  간 조직의 SOD 및 GST 활성
  간조직의 GSH 및 LPO 함량
  간 조직의 GPX 및 CAT 활성
 요약
 감사의 글
 문헌

저자정보

  • 김재원 Jae-Won Kim.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식품산업학부 식품가공학전공
  • 김순동 Soon-Dong Kim.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식품산업학부 식품가공학전공
  • 윤광섭 Kwang-Sup Youn.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식품산업학부 식품가공학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