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위험사회의 의미 구성하기 : 국내 언론의 신종플루 프레이밍 방식 분석

원문정보

Constructing the Meaning of Rsk Society : How Korean Press Frame the Swine flu Pandemic

양정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how Korean newspapers frame the swine flu which we might call the biggest public health risk Korean society ever experienced. Cho Sun Ilbo and Hankyorae Shinmun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news media focus overly on the dramatic elements of the incident causing fear and anxiety. However, when the public response reaches almost the state of panic, the news emphasizes responsible actions of the governments and the overreaction of the public. By so doing, the news media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the existing order. In terms of the frame categories, despite the large amount of news reporting, two news papers rely on a handful of similar frames. Both the newspapers focus particularly on the status of the pandemic, which result in the individualization of responsibility as well as the invisibility of fundamental causes of the disease.

한국어

본 연구는 우리 사회가 최근 경험한 가장 큰 위기 중 하나인 신종플루 사태를 뉴스 보도가 어떤 방식으로 의미화 해나가는지 조선일보와 한겨레 신문을 분석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뉴스의 신종플루 프레이밍 방식은 극적인 요소에 주목하면서 공포와 불안을 유발시키는 경향을 드러내며 이러한 흥미위주의 선정성은 사회질서의 혼란을 위협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공중의 불안이 공황상태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로 가고 있다는 징후를 보이면 뉴스는 정부 대비 태세의 철저함이나 시민 과잉반응을 부각시켜 질서유지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극적인 계기가 등장 할 때 마다 선정적 경고자의 위치로 옮아갔다가 혼란과 불안이 지나치다고 판단되면 다시 질서유지자로 돌아오는 양상은 프레임 변화를 통해 위기의 자연 소멸시기까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위험이 가지는 대중적 뉴스가치를 최대한 활용하지만 기존질서 옹호라는 뉴스의 근본적인 역할은 항상 유지한다는 것이다. 프레임 유형 면에서 본다면 많은 보도량에도 불구하고 신종플루의 의미를 구성하는 지배적인 프레임은 소수에 그치며 이들 지배적 프레임은 양 일간지에 걸쳐 거의 동일한 비중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피해현황에 경쟁적으로 집중하는 이들 프레임은 신종플루가 ‘안전한’ 백신개발과 치료제 확보 등과 같은 정부의 방역 노력과 개인의 위생개선을 통해 해결해야 할 불가피한 위험이라는 정의를 내리고 있다. 뉴스 보도는 위험을 유발시킨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을 할애하지 않고 있으며 앞으로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러스 감염의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려는 노력보다는 현재 주어진 바이러스의 치명성을 예측하고 통제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이 같은 프레이밍 방식은 언론보도의 특징에서 유래하는 부분이 크다. 즉 아직 일어나지 않은 상황을 예측해서 뉴스화 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며, 마찬가지로 위험 가능성은 실제로 구체화되어 사건의 형태를 띠지 않은 한 뉴스화하기 힘들며, 사건화 되었다 할지라도 당장 드러나지 않거나 인과관계를 입증할 수 없는 원인은 뉴스 관심을 끌기 힘들다는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뉴스미디어와 위험
  1. 위험보도가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
  2. 위험보도의 특징
  3. 위험보도의 이데올로기적 지향성
  4. 위험 뉴스의 취재원
 Ⅲ. 분 석
  1. 분석대상
  2.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1. 형식면에서 프레임 분포
  2. 내용면에서 판별한 프레임 유형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정혜 Yang, Jung-Hye. 계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