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권수현, 이승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overall asp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teachers' 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personal and school-related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2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the research tool utilized was RQT(Resilience Quotient Test) developed by Reivich and Shatté(2003). In the RQT, resilience includes subordinate factors such as emotion regulation, impulse control, optimism, causal analysis, empathy, self-efficacy and reaching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scores (total and subordinate factors) was above average.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s, the highest score was impulse control, followed by empathy, causal analysis, optimism, emotion regulation, self-efficacy, and reaching out in the order named. That is,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tend to be generally high, and impulse control and empathy are especially high. Second, all of the personal variables such as age, marriage, teaching career, and education level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eachers' resilience (total) and each of the subordinate factors. Among the school-related variables, assigned children's age, the number of children in class, and hours of du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overall resilience (total) and subordinate factors. In other words, the teachers who are older, married, with more teaching career, and higher education level are more resilient. The teachers in charge of 3 year-old children showed higher reaching out abilities than the teacher in charge of 5 year-old children, and the teachers with large numbers of children in class appeared to have higher impulse control. Moreover, the teachers with high salary showed higher causal analysis abilities than those with low salary.

한국어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가지고 있는 회복탄력성의 전반적인 양상을 알아보고, 교사의 개인적 변인과 기관적 변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36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로 사용된 Reivich와 Shatté(2003)의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Resilience Quotient Test: RQT)는 정서조절력, 충동통제력, 낙관성, 원인분석력,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적극적 도전성의 하위요인을 포함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은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난 하위요인은 충동통제력이며, 공감능력, 원인분석력, 낙관성, 정서조절력, 자기효능감, 적극적 도전성의 순이었다. 둘째, 교사의 개인적 변인인 연령, 결혼여부, 교직경력, 교육정도에 따라 회복탄력성과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관적 변인 중에서는 담당 유아연령, 학급 원아 수와 월급여에 따라서만 회복탄력성과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개인적 변인에 있어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결혼한 교사일수록,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나 하위요인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기관적 변인에 있어서는 3세반 교사의 적극적 도전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급 원아 수가 많은 교사의 충동통제력과 월급여가 많은 교사의 원인분석력이 높게 나타났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 처리
 III. 연구결과
  1.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2. 변인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수현 Kwon, Su-Hyun.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
  • 이승연 Lee, Seung-Yeon.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