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1] 기획학술대회 “고전문학과 꽃”

꽃 소재 작품을 통해 본 고시조의 미의식-<靑丘永言> 珍本과 六堂本의 비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Sijo about Flowers

김진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nvestigated the aesthetic tendency of the sijo about flowers. In this paper, the meaning of the flowers in the sijo was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Each of the thematic categories corresponded to four aesthetic categories such as sublimity, grace, humor, and pathos, respectively. Among these aesthetic categories, grace and pathos were dominant through the whole period of Chosun dynasty, while the importance of humor and pathos increased gradually in the late Chosun. However, the most significant and perpetual category was grace rather than pathos because the grace in the sijo about flowers negotiated with all the other categories: sublimity, humor, and pathos. In this case, grace appeared not only in the typical works about the beauty of nature but also in the works that pursued more sensual pleasure. Sijo has been generally considered as having gone through radical change in its characteristics especially in the late Chosun. Despite this popular notion, grace, the main aesthetic value of Chosun's literati, firmly maintained in the sijo until the late Chosun period, and this aesthetic norm was sometimes founded on the basis of the ignorance or suppression of others. Thus,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outside of this aesthetic norm or the boundary between its inside and outside. It would be meaningful to listen to the silent voices that were shadowed under the prevalent aesthetic norm of the sijo, the beauty of harmony and moderation.

한국어

본고에서는 󰡔청구영언󰡕 진본과 육당본을 대상으로 하여, 꽃을 소재로 한 고시조들의 미적 경향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고시조에서 꽃의 의미는 크게 네 종류의 범주로 분류하여 볼 수 있었으며, 각각의 의미 범주는 숭고, 우아, 골계, 비애 등의 미적 범주와 연관하여 볼 수 있었다. 이 중 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우아미와 비애미였으며, 후대로 갈수록 비중이 커진 미적 범주는 비애미와 골계미였다. 그러나 꽃 소재 고시조에서 시대를 관통한 가장 주요한 미적 범주는 비애미보다는 우아미였다. 왜냐하면 꽃 소재 고시조에서 우아미는 여타의 미적 범주들, 즉 숭고․골계․비애 등에도 개입하는 양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때 우아미는 사대부의 전형적인 ‘淸興’에서뿐만 아니라, 유흥성이 강화된 ‘逸興’이나, 나아가 ‘好色的 풍류’에서까지 견지됨을 보았다. 우아미를 중심으로 한 사대부적 미의식은 통념과는 달리 조선후기의 시조에서도 강고하게 유지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미의식은 때로는 타인에 대한 무시나 억압 위에서 성립한 것이었다. 따라서 그러한 미의식의 바깥, 혹은 안과 바깥의 경계를 세밀히 탐색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그것은 和平의 미라는 시조의 주류 미의식에 드리워 있던 그림자들의 작은 목소리를 찾아내는 일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이념의 알레고리와 崇高
 3. 흥취의 배경과 優雅
  3.1. 淸興
  3.2. 逸興
 4. 여성의 비유와 滑稽
 5. 感傷의 촉매와 悲哀
  5.1. 인생의 無常
  5.2. 실연의 哀傷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진희 Kim, Jin-hee. 아주대학교 기초교육대학 강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