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배추김치의 자동화 제조 공정 중 미생물 분석

원문정보

Microbial Analysis of Baechu-kimchi during Automatic Production Process

김지선, 정지윤, 조승기, 김지은, 김태집, 김범수, 한남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icrobial populations in the raw ingredients of kimchi and their changes during an automated commercial manufacturing process. High population numbers of total aerobic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Leuconostoc sp., and yeast were detected in garlic, ginger, red pepper powder and this result revealed that these ingredients were the major source of microbials in kimchi. Additionally, during the salting process of Chinese cabbage, rapid microbial growth was observed and the consecutive washing process was determined to be ineffective, lowering the microbial count by only one log reduction. Yeast was also detected in various ingredients.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in order to lower the microbial population numbers in kimchi, the side-ingredients and salting process should be subjected to the appropriate sanitization or sterilization processes at the HACCP level. Beside, treatment of salted Chinese cabbage with sodium hypochlorite solutions after the salting step is recommended. To inhibit yeast growth, appropriate chemical treatment and approval of additive uses to control microbials should be considered. These experimental results and suggestions will be used to improve the kimchi manufacturing process in factories.

한국어

본 연구는 자동화된 상업용 배추김치 제조공정 중에서 원료와공정별로 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김치제조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재료별로 미생물 분포를 조사한 결과, 마늘, 생강, 고추가루에서 많은 수의 호기성 박테리아, 젖산균, Leuconostoc,그리고 효모가 검출되었으며, 이로써 위 부원료들이 김치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의 주요 공급원임을 알 수 있었다. 김치를 제조하는 공정 별로 미생물 변화를 모니터링 한 결과, 배추절임 공정에서 총 균수가 증가하였고 그 이후 세척공정에서는 단지 미생물수
를 1 log CFU/g 줄이는데 그쳐 미생물 수 감소효과는 적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효모 또한 다양한 부재료와 최종 김치에서 검출되었다. 따라서, 김치 제품에 최종적으로 존재하는 미생물 수를줄이고자 한다면 위의 원료 중에서는 위의 부재료에 대해, 그리고 제조공정에서는 절임에 사용되는 천일염과 절임탱크에 대해적절한 살균대책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또한 차염소산 살균 공정은 절임과 세척공정 사이에 위치해야만 가장 큰 효과를 기대할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검출된 효모에 대한 저해 수단
으로 적절한 저해제의 첨가도 고려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장김치의 HACCP 구축과 개선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김치 재료
  김치 제조 공정
  미생물 분석
 결과 및 고찰
  재료별 미생물 분포
  김치 제조 공정별 미생물 변화
 요약
 감사의 글
 문헌

저자정보

  • 김지선 Ji Sun Kim.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지윤 Jee Yun Jung.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조승기 Seung Kee Cho.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지은 Ji Eun Kim.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태집 Tae-Jip Kim.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범수 Beom Soo Kim.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 한남수 Nam Soo Han.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