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등에(蝱, gadfly)관으로 본 동서철학사의 이해와 주희 격물의 의미

원문정보

Gadfly in Ancient Philosophies of the East and West - The Meaning of Zhuxi's Ge-wu(格物) in Human Intellectual History

류인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at is the symbolic clue that philosophies of the East and West became different? It can be explained by one insect - gadfly being found in ancient philosophies of the East and West together.
Zhuangzi denounced Huishi who had many ingenious notions and five carriages of writings as a gadfly like this: "If we look at Hui Shih's ability from the standpoint of Heaven and Earth, it is only like the restless activity of a mosquito or gadfly."
On the other hand, Socrates who had a great effect on western modern philosophy fancied himself a gadfly like this: "I am that gadfly which God has attached to the state, and all day long and in all places am always fastening upon you, arousing and persuading and reproaching you."
After the arising of modern philosophy, human beings are going the way established by rational scientific thinking both in the East and West. However the
way of Zhuangzi who denounced Huishi as gadfly have no connection with this way.
The reason why Zhuxi arranged The Great Learning(大學) at the beginning of Four Books(四書) when he select them as confucian classics is that it starts from Ge-wu(格物) which means investigation of human affairs and natural things.
He said Ge-wu is better than investigation of Li(窮理) as a method because Ge-wu let us reach things and affairs using our sensations directly. I believe this has the same meaning as F. Bacon's inductive methods appeared in the western modern philosophy.

한국어

동서 고대철학에는 철학하기의 태도를 상징하는 아주 작은 곤충이 함께 나온다.
그것은 곧 말이나 소에 붙어서 사는 등에(蝱, gadfly)이다.
동양철학사에서 등에는 장자(莊子)가 명가(名家) 혜시(惠施, 370-318 B.C.)의 철학하기를 모기와 함께 하잘 것 없다고 비아냥거리는데서 처음 등장한다. 서양철학에서는 고대 희랍철학의 소크라테스가 사형선고를 받았던 재판에서 변론하는 가운데서 살찐 게으른 말 같은 아테네 시민을 일깨우기 위해 신이 자신에게 부여한 임무를 등에에 비유하는 가운데 처음 등장한다.
즉 등에는 서양에서는 철학자의 철학하기의 기본을 설명하는 긍정적인 비유였으나 동양에서는 반대로 쓸데없는 짓을 하는 하찮은 비판적 상징물로 쓰였다. 이런 철학하기의 태도는 그 뒤 동서철학사가 달라진 이유의 하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편 인류 현대문화는 과학적 사고에 기초한 합리적 문명의 성과이고 동서를 막론하고 모두 그 철학은 이 문화 창조의 길로 나아왔으며 그 직접적 계기는 근대철학의 등장이다. 그런데 근대철학의 정신은 등에의 자임에 더 가까웠다.
등에 역할을 자임하는 소크라테스의 방법이 다른 희랍철학자들과 더불어 서양의 근대 과학문명과 근대 사회를 이룩하는 초석이 되었다면, 사물을 관찰하여 과학적으로 또 논리적으로 설명하려는 혜시를 등에 같은 하찮은 것으로 여겨 달관하려는 장자의 방법은 적어도 서양의 베이컨이 명료화한 근대 사상의 방법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어 보인다.
그런데 이런 근대정신은 베이컨과 비교할 때 4세기 반 이전에 신유학의 주희가 발휘하였으니 그의 격물론이 그것이다. 주희는 동아시아철학사에서 처음으로 대학의 격물의 의미를 충격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리고 이것을 인류 지성사상 제일 먼저 인류 공통의 근대철학의 방법으로 다듬어 그 철학의 전면에 세웠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동서 고대철학의 상반된 등에관
 2. 베이컨과 주희의 격물론
 3. 소크라테스의 등에론의 의미
 4. 장자( 천하편 )의 등에관의 의미
 5. 주희 격물 중시의 세계철학사적 의미
 【참고문헌 】
 [Abstract]

저자정보

  • 류인희 Lyu In-Heui.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