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서해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지방산 조성 비교

원문정보

Comparative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Korean Salt Marsh Plants in the West Sea

김유아, 엄영란, 이정임, 김해진, 임선영, 남택정, 서영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atty acid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many biological processes. However, an imbalance in diet-especially, a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deficiency-causes several diseases such as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atty acid contents and compositions of 26 species of Korean salt marsh plants and found high fatty acid contents from S. herbacea (148.75 μg/mg-dry wt.), S. komarvii (119.05 μg/mg-dry wt.), C. heterocarpa (79.23 μg/mg-dry wt.), A. capillaris (71.65 μg/mg-dry wt.), and L. tetragonum (67.02 μg/mg-dry wt.). In the case of saturated fatty acids (SFAs) composition, palmitic acid is richest in most salt marsh plants. On the other han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are major components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 and n-6 PUFA, respectively. In addition, n-3 PUFAs such as LNA (linolenic acid), EPA (eicosapentaenoic acid), and DHA (docosahexaenoic acid) known as the main fatty acid components of fish oils and seaweeds, were also found in S. herbacea, S. komarvii, T. tetragonoides, A. capillaris and G. littoralis.

한국어

지질 (lipid)은 인체에 있어 가장 큰 에너지원일 뿐만 아 니라 생체 내 여러 가지 생물학적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 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1]. 지방산 (fatty acid)은 이러 한 지질이 가수분해 되어 생성되는 물질로써 형태에 따라 포화지방산 (saturated fatty acid, SFA)과 불포화지방산 (unsaturated fatty acid, USFA)으로 나뉘며, 불포화지방산은 이중결합의 수에 따라 단일불포화지방산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과 다중불포화지방산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으로 나뉜다. 단일불포화지방산은 palmitoleic acid (16:1n-9)와 oleic acid (18:1n-9)가 대표 적이며, 다중불포화지방산의 경우 linoleic acid 혹은 α-linolenic acid의 기원에 따라 각각 n-6계 다중불포화 지방산과 n-3계 다중불포화지방산으로 나뉜다. 이들은 꼭 필요하지만 생체에서 생성될 수 없어 음식으로 섭취해 주 어야 하기 때문에 필수지방산 (EFA, essential fatty acid) 이라고 부른다. n-6계 다중불포화지방산은 linoleic acid (18:2n-6), arachidonic acid (20:4n-6) 그리고 n-3계 다 중불포화지방산은 LNA (linolenic acid, 18:3n-3), EPA (eicosapentaenoic acid, 20:5n-3), DHA (docosahexaenoic acid, 22:6n-3)를 들 수 있는데 전자가 결핍 될 경우에 성장지연, 피부손상, 생식장애, 지방간, 조갈증 등이 야기 되는 반면에 후자의 경우에는 학습능력 감퇴, 망막기능 장 애, 시각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 각기 다른 계열의 다 중불포화지방산은 결핍시에 서로 다른 증상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3]. 오늘날 선진국을 비롯한 현대인들의 식습관이 변화함 에 따라 지방산 흡수의 불균형이 야기되고 있다 [4-5]. 특히, n-6 지방산:n-3 지방산의 권장 섭취 비율이 1-4:1인데 비해 실제로는 서양의 경우 15-16:1을 나타내며 우리나라 의 경우 5-8:1 섭취 비율을 보임으로써 식이 불균형이 점 차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5-6]. 이와 같이 환경변화에 따른 스트레스, 오염 등과 더불어 식습관의 변화는 인체의 변화를 가져왔고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여러 연구기관에서 이러한 변화를 시정하는 일환으로 식품 혹은 생물로부터 지방산의 함량을 알아보고, 특히 n-3계 다중불 포화지방산과 질병과의 관련성을 찾는 연구, 예로 n-3계 다중불포화지방산의 함량 변화에 따른 심장혈관질환, 항 당뇨, 항염증, 함암의 효과를 검증한 다수의 결과가 보고 된 바 있다 [7-10]. 불포화지방산은 염분에 의한 스트레스나 수분을 조절하 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11], 이러한 이유로 n-3계 다중 불포화지방산은 생선, 고래, 조개 등의 바다생물이나 해조 류와 같은 특정 식물에서 주로 발견된다 [12]. 염습지나 조간대는 조류, 온도 및 염분과 같은 규칙 혹 은 비규칙적인 외부 요인에 의해 일반 육상 환경과 다른 극한 환경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이곳에 서식하는 생물은 이에 적합한 적응 기작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독특한 생리 활성 물질을 가지는데 특히, 환경적 이온 농도의 차이에 의해 단백질과 지질 및 지방산을 풍부하게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3]. 염생식물은 해조류나 어류와 같이 염분이 많은 해안의 염생습지에서 서식하면서 먹이 연쇄의 기초 생산자 역할 을 하는 식물이다. 이들은 세립질 입자에 뿌리를 내려서 조류 흐름으로 인한 침식 활동을 억제하며, 조간대의 염분 농도에 따라 서식지를 이동하는 특징을 가지므로 염생식 물 서식지의 대상분포 변화를 통한 조간대의 환경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좋은 환경 요소가 된다 [14]. 최근 오염 물질의 정화 능력이나 다양한 약리적인 효과로 인해 관심 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재배를 통한 이용 가능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15,16]. Weete 등 [17]에 의하여 염생식물 S. bigelovii의 지방산 분포가 연구된 바 있으며 특히, 지 방산의 경우에는 분석에 있어 안정성, 민감성, 신속성 등 의 이유로 organic tracer로써의 역할을 하므로 이러한 연 구는 염생식물을 통한 하구의 먹이관계를 연구하는 지표 로 사용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나 해조류에 대한 지방산 분석은 보고 된바 있으나 염생식물에 대한 성분 조성을 비롯한 전반적 인 기초과학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우리나라의 서해안 일대에 서식하는 26종의 염생식 물을 이용하여 지방산, 특히 n-3계 다중불포화지방산의 함 량을 알아봄으로써 식물유전자원 수집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며,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 활용가치를 재조명 함 으로써 그 이용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염생식물 채집과 추출물의 제조
  염생식물 추출물의 지방산 분리 전처리 (비누화 및 메틸에스테르화)
  Gas Chromatograph를 이용한 지방산 분석
 결과 및 고찰
 요약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유아 You Ah Kim.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ㆍ생명과학부
  • 엄영란 Young Ran Um.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ㆍ생명과학부
  • 이정임 Jung Im Lee.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ㆍ생명과학부
  • 김해진 Haejin Kim.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ㆍ생명과학부
  • 임선영 Sun-Young Lim.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ㆍ생명과학부
  • 남택정 Taek Jeong Nam.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서영완 Youngwan Seo.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ㆍ생명과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