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가 국가 브랜드 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ODA on Nation Brand Equity

김유경, 이효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Korean government has officially lunched the Presidential Council on Nation Branding in Korea, which will handle and support activities to improve the Nation Brand Value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atic situation resulted from the undervalued Korean Nation Brand. Among reasons for undervaluing Korean Nation Brand, it is pointed out that deficiency of contribution to international society due to insufficiency of the ODA is the most disputable issue. 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promoting to improve the Nation Brand Values by trying to actively and devotedly contribute to the international society with the expansion of the ODA. In this context, this study has tried to verify how the ODA affects the Nation Brand of a donor country based on the theory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precedents studies. Accordingly, in order to objectively analyz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the people's perception in a recipient country of the ODA on the attitude toward Korean Nation Brand, the intention to travel to Korea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the subject study has set a research modelling and conduct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people's perception in a recipient country of the Korean ODA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Korean Nation Brand, and the overall attitude toward Korean Nation Brand has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travel to Korea and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However,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people's perception in a recipient country of the Korean ODA does not directly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travel to Korea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but the indirect influence is exerted through a medium of the attitude toward Korean Nation Brand. Key Word : ODA, Nation Brand, Nation Brand Attitude, Intention to Travel, Purchase Intention, CSR The significances of the subject study are in that by clarifying the positive influence on relation between the overall attitude toward to Nation Brand and the actual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ha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change of the people's understanding and an objective clue to participation of corporations, which are the basic bases to support the ODA. Finally, it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support in policy through the political consent. Further,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suggests that the expansion of the ODA may have an influence on increase of Nation Brand Equity and such influence may produce a possibility of virtuous circle effect of re-expansion of the ODA through the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ountry.

한국어

한국의 국가브랜드 가치의 저평가로 인한 문제적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서 정부는 국가브랜드 가치 제고 활동을 총괄, 지원하게 될 대통령 직속 국가브랜드위원회를 공식출범 시켰다. 한국의 국가브랜드 가치 평가절하의 원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쟁점으로 지목되는 것이 ODA의 미흡으로 인한 국제사회 기여 부족의 문제이다. 이에 정부는 ODA 확대를 통한 국제사회의 적극적이고 헌신적인 기여를 시도함으로써 국가브랜드 가치제고를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이론과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ODA가 공여국의 국가브랜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ODA의 수원국 국민 인식이 한국 국가브랜드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 한국 관광의도, 한국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 간접적인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공적개발 원조의 수원국 국민의 인식은 한국 국가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한국의 국가브랜드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는 한국 관광의도와 제품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 ODA에 대한 수원국 국민의 인식은 직접적으로 한국 관광 의도나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한국 국가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ODA가 공여국가의 국가브랜드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와 실질적인 구매의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규명함으로써 ODA에 대한 지지기반으로서 국민의 인식전환의 계기 마련과 기업의 ODA 참여에 실증적 단서를 제공하였고, 마지막으로 정치적 합의를 통한 정책적 지원의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ODA의 확대가 국가브랜드 가치 상승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영향은 국가의 지속적 성장과 발전을 통해서 다시 ODA 확대의 선순환 효과의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
  1) 공적개발원조(ODA)의 이해
  2) 국가브랜드 가치 상승을 위한 공적개발 원조의 역할
  3)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4)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이론의 ODA 적용 가능성
  5) 국가브랜드의 역할 및 효과
 3.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4. 연구방법
  1) 변인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문항
  2) 표본선정 및 자료수집
 5. 연구결과
  1) 측정유목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2) 가설검증
 6. 논의 및 결론
  1) 논의 및 함의
  2) 한계 및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저자정보

  • 김유경 Kim, You-Kyung. 한국외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커뮤니케이션학박사
  • 이효복 Kim, You-Kyung,. 한국외대 신문방송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