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eaching aids Robot Education ,through early education and contests, is very commonly know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ir parents and teacher. However, not only we do not have complete knowledge of how robot education for after school performs, but also we lack a proper management skills in educating new teachers and running a structured program. Thus, through this research, we would like to identify the problems in teacher's knowledge and how the robot education is running according to provinces, size of cities, public·private school, and size of schools and provide proper and most effective way of teaching after school robot clas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of running ‘Robot class’ in different area, sub-areas and size of schools,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and the biggest problem in performance was the class organization. In addition, about the expectation through after school classes,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teachers expect lower cost of private education and improvement in creativity the most.
한국어
‘교구로봇’ 교육은 영재교육과 경진대회를 통하여 초등학생과, 학부모, 교사에게 기대와 인식이 매우 보편화 되었으며, 창의성과 통섭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의 로봇교육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방과후 로봇 교실 운영에 대한 초등현장의 교구로봇 교실 운영 실태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도교사 양성이나 체계적인 프로그램 운영 관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지역별, 지역단위별, 공·사립별, 학급수별에 따른 초등학교의 방과 후 ‘교구로봇’ 교실의 운영실태 및 담당 지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방향으로 방과후학교 로봇교실이 정착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지역별, 지역단위별, 학급수에 따른 ‘로봇교실’의 실시현황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업을 운영함에 있어 가장 큰 문제는 반편성 방법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과후학교 수업을 통하여 기대하는 효과에 대하여 지도교사들은 사교육비 절감 및 창의력 향상을 가장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교구용 로봇에 대한 이해
2.2 사전 연구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및 표본설계
3.2 자료분석 및 처리방법
4. 실태운영 분석
4.1 실시현황 분석
4.2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 분석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