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RTICLES

2007년 개정 역사교육과정의 계열성과 교재구성방향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equence of 2007 History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방지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form the groundwork for building up the theory of the sequence or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and explore the way of practicing in the school.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mportant, positive change has achieved in the sequence between 'Basic course' and the 'Optional course' History, newly set subject in the 7th reformed curriculum (2007), the core of 'Basic course' is constructed for chronicle and perspective understanding in korean and world history. Three optional subjects stress the historical discussion, interpretations, and various historical views. Second, History, has a distinctive feature : coexistence of korean and world history. This feature made possible to apply new sequence frame in the 'Basic course' Third, to give body to the new sequence frame in the 'Basic course' in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it's essential to design equipment in materials to rear historical space senses. And simply designed comparison activity for 8-9grade student is useful to sequencing the historical thinking between 8-9grande and 10grande.

한국어

역사교육과정은 학생들에게 선택의 여지가 없는 ‘제도’이다. 교육과정이 계열성을 확보하고 있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학생들이 ‘이어 배워야 하는’ 학습 경험이기 때문이다. 제7차 교육과정부터 기본교육과정과 선택과정 체제가 도입됨으로써 초·중·고등학교 체제에 따라왔던 계열성 접근틀이 구조적인 수정의 필요성에 직면하였다. 기본과정과 선택과정의 단계로 구분한 교육과정의 취지를 살려 계열성을 확보하려면 두 과정의 차별성을 분명히 하되 기본과정 안에서는 각 학년별 학습내용이 좀 더 긴밀히 연결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새 역사 교육과정은 전체 구성면에서 보았을 때, 통사 중심의 기본과정에서 특정한 관점이나 담론에 기초한 주제 중심 접근을 강조한 선택과정으로 계열화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기본과정의 <역사>도 계열성 측면에서 중요한 변화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까지 한국사 중심으로 논의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세계사를 계열성 논의의 장에 끌어들에게 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역사>는 기본적으로 반복을 피하고 3년 동안의 학습 내용의 연결을 꾀하는 쪽으로 접근 방향을 달리하였다. 한국사 내용을 반복하지 않으면서 세계사 내용과 한국사 내용의 상호 관계, 연계 방식을 달리하여 10학년이 8-9학년보다 심화된 역사이해에 도달할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 한국사와 세계사의 관계 설정은 내용 영역의 배열을 넘어서는 문제로 역사를 통해 학습자가 경험해야 할 역사적 사고와 인식의 계열화로 이어진다. 8-9학년에서 나와 남에 대한 인식, 다양성에 대한 열린 태도를 기르고, 각각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면, 10학년에서는 타자의 경험에 비추어 본 자기 인식과 성찰을 강조하여 계열화하였다. 교재 구성에서는 교육과정이 강조하는 역사인식의 특성이 학습 경험에 체계적으로 담길 수 있도록 배려하는 일이 핵심이 될 것이다. 8-9학년 <역사>교재는 역사적 공간에 대한 인식을 배려하고, 한국사와 세계사를 넘나드는 활동을 구성하며, 9학년과 10학년 세계사 성취기준의 연관성을 짚는 방식으로 10학년 <역사> 교재 구성과의 계열성을 살릴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여는 글
 II. 역사교육과정 과목 구성의 계열성
  1. 기본과정과 선택과정의 계열성
  2. 기본과정 <역사> 내부의 계열성
 III. <역사>의 계열성에 기초한 교재 구성 방향
  1. '역사적 공간'에 대한 인식을 배려한 구성
  2. 한국사 선행 학습 사례와 세계사 사례의 결합 구성
  3. 9학년 세계사 내용과 10학년 세계사 내용의 상호 연계 구성
 IV. 맺음말
 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방지원 Bang, Ji Won. 신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