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시리아 교부 에프렘의 실존적 신학

원문정보

Ephrem's Personal and Existential Theological Method

서원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phrem’s Personal and Existential Theological Method Won Mo Suh This article is designed to show the importance of the legacy of Syriac church in constructing an Asian theology and doing Asian mission in the 21th century. Despite various criticism and reflection on the poor result of past missions in the Asian continent, there has been no effort to reconstruct an Asian mission theology in a creative way by utilizing abundant traditions of various Asian churches in the past, especially the traditions of the “Oriental” Christianity which consists of Syriac, Armenian, Georgian, Coptic, Ethiopian, and Arabic churches. The Syriac church is the oldest and most important church in the Oriental Christianity, and this study, by presenting a distinctive feature of one of prominent theologians of the Syriac church, Ephrem the Syrian (c. 306-73), aims to demonstrate a meaningful contribution the ancient Syriac tradition would make to the contemporary church and theology. The focus of this study is autobiographical expressions in Ephrem’s writings. Ephrem readily uses the first person singular in his works, in particular Hymns on Paradise, and Hymns on Faith. Robert Murray notices these expressions in the end of his hymns, describing them as Ephremic sphragis, which used to be a method of self-revealing in the Greco-Roman literature. Edmund Beck also collects some passages showing Ephrem’s self-reproof through the use of the first person singular, which receives closer attention in my another article. This article, for the first time in Ephrem’s scholarships, in a systemic way examines these autobiographical expressions. This study reveals Ephrem uses the first person singular in various ways. Unlike Gregory of Nazianzus and Augustine of Hippo, there are only a few passages giving information about his life and spiritual journey. Usually in the end of hymns these autobiographical expressions summarize previous themes in a personal way. They appear in the form of prayer, supplication, and praise, inviting the audience to his personal world. These expressions are found in the beginning or in the middle of his hymns as well as in the end. They often convey Ephrem’s deep agony and fear about death and the Judgment, which are prominently shown in the Hymns on Paradise and the Letters of Publius. They induce the audience to participate in his spiritual agony and experiences. Ephrem also utilizes the first personal singular in his Biblical meditations and theological reflection. He often comes across to difficult theological questions in some passages of the Bible. It is quite remarkable for him to ask and answer these questions in quite personal tones by means of autobiographical expressions. Furthermore, in the Hymns on Paradise, Ephrem makes them a framework of narrating the beauty and majesty of the Paradise. The first personal singular indicates the process of his meditation on the story of the Paradise, such as entering it, staying and walking in it, and coming out of it. He even dynamically exchanges the subject and the object, using expressions such as “Paradise raised me up” and “it enriched me.” These personal expressions show Ephrem’s deep spiritual experiences, which powerfully draw the audience to him. It is my conviction that such “personal and existential theological method” of Ephrem has a ring of truth in this post-modern society. The post-modern thought warns against the sharp division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preferring intersubjectivity. Ephrem’s personal theological method may give a hint at doing theology in an intersubjective way. Furthermore his method shows an example of what theology looks like when it incorporates spirituality, prayer, and pastoral experiences, not just systemic reflections. In this sense the future Asian theology will gain great advantages when it takes seriously Ephrem’s personal theological method. Finally, Ephrem’s personal theological method may come from Jewish literary traditions such as Psalms and apocalyptic literature. It may be possible that Ephrem has recourse to these Jewish traditions, further developing them. In this sense, this method is said to constitute the archtype of Asian spirituality and theology. Such rediscovery of this Asian way of doing theology is sure to profoundly enrich the contemporary Asian church and theology. It is my belief that various heritages of Asian Churches in the past, not only Ephrem in the Syriac tradition, when properly appropriated, will provide the future Asian mission and theology with deep insights and useful thoughts.

한국어

이 글은 21세기 아시아 신학과 아시아 선교를 위해 시리아 교회의 유산의 중요성을 보여 주고자 한다. 아시아 대륙에 대한 선교의 결실이 미약하다는 사실에 대한 다양한 비판과 성찰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아시아 교회의 풍성한 유산, 특히 시리아, 아르메니아, 그루지야, 콥트, 에티오피아 교회로 구성된 동방 그리스도교의 전통을 활용함으로써 창조적으로 아시아 선교신학을 재구성하려는 노력은 시도되지 않았다. 이 글은 동방 그리스도교 중에서 가장 오래 되고 중요한 시리아 교회의 신학자인 에프렘(306-73)의 신학 방법을 소개하여, 고대 시리아 교회가 현대 교회에 중요한 의미를 지닐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자 한다. 이 논문은 에프렘의 글에 나오는 자서 문학적인 표현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며 이는 에프렘 연구에서는 최초의 시도이다. 에프렘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1인칭 단수를 사용하는데,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나 아우구스티누스와는 달리 에프렘의 생애나 영적 여정을 나타내는 구절은 많지 않다. 자서 문학적 표현은 대개는 찬양 마지막 부분에서 앞의 내용을 실존적으로 요약하는 방식으로 나타나며 기도, 간구, 찬양의 형식을 지니며 청중을 에프렘의 내면적 세계로 초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표현은 찬양의 마지막뿐만 아니라 처음과 중간에서도 발견되며, 종종 죽음과 심판에 대한 에프렘의 고뇌와 두려움을 표현한다. 이러한 형식은 『낙원 찬양』, 『푸블리오스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청중을 에프렘의 영적인 고뇌와 경험에 동참하도록 돕는다. 에프렘은 또한 성경 묵상과 신학적 성찰에서 1인칭 단수를 사용한다. 그는 성경 구절에 대한 난해한 신학적 질문을 제기하며 자서 문학적 형식을 통해 자신의 실존을 개입시키는 방식으로 이러한 문제에 대해 질문하고 대답한다. 더욱이 『낙원 찬양』에서 에프렘은 낙원의 아름다움과 장엄함을 서술하는 틀로 자서 문학적 표현을 사용한다. 에프렘은 1인칭 단수를 사용하여 낙원에 들어가고 머물고 거닐고 나오는 과정을 서술하며 역동적으로 주체와 객체를 바꾸기도 한다. 이러한 실존적인 표현은 에프렘의 깊은 영적 체험을 보여 주며 청중을 자신에게로 끌어들이는 강력한 도구가 된다. 필자는 이러한 에프렘의 실존적 신학 방법이 포스트모던 사회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확신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주관과 객관을 엄격하게 나누는 것을 반대하고 상호 주관성을 강조한다. 에프렘의 실존적 신학 방법은 상호 주관적인 형식으로 영성, 기도와 목회 경험을 포함한 통전적인 신학의 모습이 어떤 것인지를 보여 준다. 이러한 의미에서 미래의 아시아 신학은 에프렘의 실존적 신학 방법을 진지하게 고려할 때 큰 유익을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에프렘의 실존적 신학 방법은 시편과 묵시 문학과 같은 유대교 문학 전통에서 발전되었을 개연성이 크다. 이러한 의미에서 에프렘의 실존적 신학 방법은 아시아 영성과 신학의 원형을 구성한다고도 말할 수 있다. 필자는 에프렘에서 나타나는 시리아 교회의 전통뿐만 아니라 아시아 교회사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과거의 유산이 오늘날 적절하게 활용될 때 미래의 아시아 선교와 신학을 세우는 데 있어서 깊은 신학적 통찰과 유용한 성찰을 제공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목차

논문 초록
 I. 아시아 선교와 시리아 교회의 유산
 II. 에프렘의 자서 문학적 표현
  A. 글의 마무리와 스프라기스(Sphragis) 기법
  B. 자책적인 표현
  c. 성경 묵상과 신학적 질물
  D. 말씀의 현재화와 서술의 틀로서 자서 문학 - 『』
 III. 에프렘의 실존적 신학과 아시아 신학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원모 Won Mo Suh. 장로회신학대학교 역사신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