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韓中文化

송대 ‘대나무’ 도상의 상징에 대한 고찰 -『聲華集』의 ‘대나무’ 제화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ymbols of bamboo icon in bamboo paintings - Focused on 'bamboo' Ti-hua-shi(題畵詩) in『Sheng-hua-ji(聲華集)』

송대 ‘대나무’ 도상의 상징에 대한 고찰 -『성화집』의 ‘대나무’ 제화시를 중심으로 -

서은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 how bamboo paintings developed and what is the iconographical meaning of them through bamboo Ti-hua-shi(poems on paintings) found in Sheng-Hua-Ji, a leading compilation of Ti-hua-shi(poems on paintings) of Song Dynasty. Bamboo paintings give shapes in a simpler and more direct way in drawing, which means bamboo paintings reveal concretely more characteristics of Ti-hua-shi (poems on paintings). Bamboo paintings, which flourished during Northern Song Dynasty, often had the image of the dragon, specially a lying dragon or a winding dragon, which suggests a great man in obscurity. Snow-laden bamboos were also a symbol of a great man, very wise man in Confucian tradition. This shows Confucian ideal examples were embodied through bamboo paintings. Another aspect of bamboo paintings is that bamboo paintings were regarded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which identified Confucian sadaebu (scholar-officials) who advocated simplicity and austerity in their life. Contrary to professional painters, who added color and decoration to their paintings, Confucian scholars of Song Dynasty reduced color and embellishment in their bamboo paintings in black-and-white to reveal their own identity, focusing on spirituality rather than the image itself. Therefore, drawing and appreciating bamboo paintings were highly respectable pastime among the literati of Song Dynasty. In short, Bamboo paintings in Song Dynasty were not only a Confucian symbol of a wise and virtuous man but also reflected the taste of Song sadaebu class who thought of bamboo as a symbol for moral and cultural responsibility of Confucian society.

한국어

본고는 그림에 제하거나 그림을 대상으로 한 題畵詩의 특성에 비추어볼 때 墨竹의 형상성이나 형상 과정이 잘 묘사될 수 있다고 여겨, 宋代 제화시를 수록한 대표적 제화시집인 󰡔聲畵集󰡕에 실린 ‘대나무’ 제화시를 통해 북송대 이후 묵죽화의 발전 양상과 그것의 도상학적 의미를 살펴본다. 묵죽화 발전 양상과 그 유형을 살펴보면, 북송대에는 당시 御府에 148축의 묵죽화가 있었다고 전해질 정도로 묵죽화가 성행했다. 화면 속에 등장하는 묵죽의 모습, 즉 그림 속의 ‘도상’은 와룡처럼 누운 橫竹이나 교룡처럼 굽은 紆竹이 많이 등장하고, 특히 많은 대나무가 겨울에 서리를 맞고 서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송대에 오면 ‘대나무’ 도상에 대한 인식은 유가적 이상형인 군자라는 보편적 인식과 더불어, 대나무를 자기표현의 한 수단으로 여기고 문인사대부 특유의 문인성을 표현할 수 있는 대상으로 보게 된다. 그 결과, 전업화가들이 丹靑과 形似에 몰두해 그린 대나무가 아니라 문인 사대부 즉 자신들이 ‘묵죽’을 창작하고 감상하는 것을 최고로 여겼다. 묵죽에 대한 송대 문인사대부의 애호와 관심에는, 유가적 이상형인 군자 외에 시련에도 불요불굴하는 의지의 구현자이자, 부귀와 공명이 아니라 사회를 위해 도덕적인 책임과 문화적 과제를 온전히 수행할 수 있는 진정한 ‘문인성’의 체현자라는 인식이 그 바탕에 깔려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I. 들어가며
 II. 송대 묵죽의 성행과 그 유형
  1. 묵죽의 성행
  2. 묵죽의 유형 - 그림 속 '도상'
 III. 도상으로서의 '대나무'
  1. 보편적 도상으로서의 '군자'
  2. 창조된 도상으로서의 '문인성'
 IV.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은숙 Seo, Eun-Sook. 연세대 인문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