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치원 교사의 정서교육신념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bout Emotions

연선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two goals. 1. To investigate whether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bout emotions can be viewed as having a coherent structure 2. To analyze variations in the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bout emotions as related to factors that have been cited in their years of experience, education, kindergarten type and age of teaching children Object of this study is 164 of answered teachers among the 300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is study use the survey questionnaires which modify and translate the tools of Hyson & Lee (1996) The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order of study goals:1. The factors resulting from this analysis paralleled the conceptually constructed belief scales. Investig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bout emotion beliefs was conducted through factor analysis. Five factors accounted. Emotional bonds loaded on Factor1, developmental readiness for socialization load on Factor2, instruction about emotion load on Factor3, protecting from strong emotion load on Factor4, express feelings openly load on Factor5.2. Analyze variations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teachers' years of experience in kindergarten and their emotion related beliefs. between teachers' levels of education and their emotion related beliefs. Significant differences of teachers' emotional beliefs were not found by kindergarten type, and children's age in the classroom.

한국어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정서교육신념 질문지를 통하여 유치원 교사의 정서 교육신념의 구조를 살펴보고, 유치원 교사의 다양한 배경요인인 학력, 경력, 근무하는 시설 유형, 가르치는 유아 연령에 따라 정서교육신념이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유치원 교사 300명중 질문지에 응답한 164명이고, 연구도구는 정서교육신념에 대한 질문지로 Hyson과 Lee(1996)가 개발한 도구를 번역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의 정서교육신념은 유대관계 형성, 사회화를 위한 발달적 성숙, 정서표현 가르치기, 정서적 배려, 솔직한 정서표현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유치원 교사들이 유아의 정서적인 미성숙을 고려해 숨기기보다 부정적인 정서도 솔직하게 표현해야 하고, 긍정적인 정서 뿐 아니라 부정적인 정서도 사회적으로 수용되는 방식으로 다루도록 가르쳐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의 정서교육신념은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유아연령이나 시설 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즉, 학력과 경력이 높아질수록 정서에 대한 교육신념은 더 높게 나타났다.

목차

《 요 약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3. 용어정리
 Ⅱ. 이론적 배경
  1. 유아의 정서발달에 영향을 주는 성인의 신념.
  2. 유치원 교사의 정서교육 신념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도구
  3. 자료분석
 Ⅳ. 연구 결과
  1. 유치원 교사의 정서교육신념 구성 요인
  2. 유치원 교사의 배경요인에 따른 정서교육신념
 Ⅴ.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정보

  • 연선영 Yeun, Sun-Young. 순천향 대학교 유아교육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