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약용 역학의 실학적 성격

원문정보

Practical Character of Dasan's thoughts on Book of Changes

김영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actical Learning was a kind of study critical toward the social realities of the time, and at the same time, open to embrace new social values. Classical studies of Dasan was, seen from the point of view contrary to Neo-Confucianism, regarded as practical in carrying out moral actions, and dynamic in reforming social systems and environment. Particularly, Dasan's thoughts on Book of Changes, has been discussed in the context of his reformative thoughts, for it is closely related to changes and transformations.
On the contrary, the reason why Dasan stressed so much on changes and transformations was not simply the fact that he longed for social reforms, but was rather due to his objective and matter-of-fact attitude toward the object of research, I.e., gua-yao, or divination records of hexagrams and lines. Dasan's theory of Changes emphasizing 'transition' and 'changes in yao' enable one to interpret hexagrams and lines as not only analogous inference, but as inference from cause and effect. Dasan's attitude that value high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atic theories and positivistic fact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Dasan's general academic approaches, which one cannot but notice in his thoughts of Changes.
Although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Dasan's thoughts could be illuminated through his own actions, critical spirits and reformative ideas, one should keep in mind his basic outlook that warns the danger of excessive ideology or conceptual analysis, and the fact that he put the pride of place the exposition of the meaning of character in Classical studies. Dasan was the practitioner and reform-minded scholar, but his practice and reform was firmly rooted in rigorous academics.

한국어

실학은 당대 현실에 대한 비판의 학문이었지만 다른 한편 새로운 사회와 가치에 대한 탐구의 학문이기도 하였다. 정약용의 경학사상은 성리학과 대비되어 그 실천적 성격이 강조되기도 하고 현실 개혁과 관련하여 그 역동적 성격이 강조되기도 한다. 특히 다산의 역학은 변화와 변동이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개혁 사상과 연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논의되기도 한다.
그러나 다산 역학에서 변화와 변동이 강조되는 것은 단순히 다산이 개혁을 염원하였기 때문이 아니라 괘효사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실사구시적인 탐구의 관심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산의 추이와 효변의 역리론은 괘효사를 유비추리가 아닌 인과추리의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체계적 이론화와 실증적 사실 관계를 중시하는 다산의 해석 태도는 다산 역학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다산 학문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다산 사상의 실학적 성격을 그의 실천과 비판정신 그리고 개혁론에서 조망할 수도 있겠지만, 이념의 과잉이나 관념의 과잉을 비판하고 字義의 훈고를 경학 연구의 첫걸음으로 생각하는 그의 탐구 정신을 새롭게 주목해야 할 것이다. 다산은 실천가이고 개혁 사상가였지만 그러나 그의 실천과 개혁은 학적 엄밀성에 기초한 것이었다.

목차

<요약문>
 1. 문제 제기
 2. 다산의《주역》인식
 3.《주역》과 역리사법
 4. 《주역》해석의 실학적 성격
 5. 결론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우 Kim, Young Woo. 명지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