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 which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f modern international system coexist with those of post-modern international system, the contents of secondary school's social studies education face constant pressure for change. In the period of modern international system, the major objects and scope of secondary school's social studies education were confined into the territory and sovereignty of a nation-state. However, as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fastens its speed and extent of change, the major objects and scope of secondary school's social studies education are now strongly forced to be reformulated. Newly given contents of secondary school's social studies education have to contain such characteristics as trans-territoriality, trans-sovereignty and trans-nationalism. However, the number of academic disciplines aim to teach such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international system are so numerous. For example,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like International Politics Education,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nternational Citizenship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ethnic Education are contending to be the most adequate academic discipline explaining post-modern international system. This paper argues that these academic disciplines can be unified into "Global Relations Education." This paper also elaborates curriculum's system and contents of Global Relations Educ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민족국가 중심의 근대 국제체제가 탈주권, 탈영토, 탈민족주의 등의 현상을 야기하고 있는 탈근대 국제체제와 서로 공존하고 있는 현재의 세계화 시대를 중등 사회과 교육이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를 탐구하는 글이다. 현재 교육적 측면에서 세계체제를 가르치는 학문명은 국제정치교육, 국제관계교육, 국제이해교육, 세계시민교육, 다문화교육, 다인종교육 등 너무나 많은 용어들이 혼용되고 있어, 학문 정체성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용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용어들이 세계관계교육(Global Relations Education)으로 단일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대학교에서 폭 넓게 사용해온 국제정치학과 국제이해교육 교과서의 내용체계와 내용요소를 비교․분석하여 중등 사회과에서 가르쳐야 할 세계관계교육의 내용체계와 내용요소를 정리․제시한다.
목차
Ⅰ. 서 론
Ⅱ. 세계관계교육의 용어정립 필요성
1. 국제정치교육과 세계관계교육
2. 국제이해교육과 세계관계교육
Ⅲ. 세계관계교육의 내용체계와 내용요소
Ⅳ.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