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적 도덕성의 스펙트럼과 도덕교육

원문정보

The Spectrum of Aesthetic Morality and Moral Education

윤영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tarts from the following question: Can the various perspectives of aesthetic morality based on the affinity between beauty and morality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moral education? Because we are rational beings, performing duty as categorical imperative of reason is of autonomy; nevertheless, because we are animal beings as well, duty given by reason appears violent or heteronomous. In this dilemma, aesthetic morality paves a way to willingly accomplish duty. In other words, aesthetic morality makes it possible to harmonize between duty and inclination. The spectrum of aesthetic morality which moralism and aestheticism are placed on the both polars can be schematized as three angles. First, moralism. Aesthetic morality by Plato and Aristotle can contribute to cultivating morality through aesthetic experiences by means of ‘poetry & fine arts (mousikē)’. Before moral judgement develops itself, the experiences of poetry & fine arts well refined can help student come by appropriate values & attitudes. This moral education on the basis of poetry & fine arts can overcome the heteronomous aspect of character education and assist student to form ‘good character’ with pleasure. Second, middle way between two extremes. Kant established the concept of aesthetic morality in the context that the beautiful and sublime can serve as symbols of morality. Aesthetic morality by Kant can bridge between nature and freedom, that is to say, it can pave a transitional way from the level of socialization as hypothetical imperative to that of autonomous morality as categorical imperative. Third. aestheticism. Nietzsche’s aesthetic morality characterized as the Dionysian can be treated as the theory of mental health to the effect that it can affirm the nature & pathos of human beings, incessantly create new values, overcome oneself and lead to be health Selbst.

한국어

본 연구는 ‘미와 도덕성의 친화력에 근거한 미적 도덕성의 다양한 관점이 도덕교육에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자신의 이성이 명령하는 의무를 수행한다는 것은 자율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감성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그 의무는 강제적이며 타율적인 것으로 다가온다. 미적 도덕성은 무엇보다 의무를 즐겁게 수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른바 의무와 경향성의 조화가 미적 도덕성에 의해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덕주의와 심미주의를 양 극단으로 하는 미적 도덕성의 스펙트럼에서 대표적인 관점을 세 가지로 도식화해 볼 수 있다. 첫째, 도덕주의의 입장이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미적 도덕성은 정화된 시와 예술을 매개로 한 미적 체험을 통해 도덕성을 함양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성적 판단능력이 발달하기 전 엄선된 시와 예술 작품을 활용하여 바람직한 가치․태도를 습득하게 하는 것은 인격교육의 난점인 타율적 성격을 극복하면서, 즐겁게 ‘좋은 성품’을 지니게 할 수 있다. 둘째, 미와 도덕성을 동등하게 바라보는 중간 지점에 위치한 입장이다. ‘미와 숭고는 도덕성의 상징’이라는 명제 위에 정립된 칸트의 미적 도덕성은 가언명법으로서의 타율적 도덕성으로부터 정언명법으로서의 자율적 도덕성으로 방향전환을 가능케 한다. 셋째, 심미주의의 입장이다. 디오니소스적인 것으로 대표되는 니체의 미적 도덕성은 인간의 자연성과 파토스를 긍정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며, 자기를 극복함으로써 건강한 자기에 이르는 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정신건강론의 맥락에서 해명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미적 도덕성이란 무엇인가?
  1. 미와 도덕성의 통합 양상
  2. 미적 도덕성의 내용 요소
 Ⅲ. 미적 도덕성의 스펙트럼
  1.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한 미적 도덕성
  2. 칸트에 의한 미적 도덕성
  3. 니체에 의한 미적 도덕성
 Ⅳ. 미적 도덕성 개념의 한계와 도덕교육적 함의
 Ⅴ. 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영돈 Yoon, Young Don. 인천대학교 윤리․사회복지학부(윤리학전공)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