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노트

더덕 부위별 세포벽 물질의 페놀성화합물과 항산화 활성

원문정보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Cell Wall Materialsfrom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강윤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measured the amounts of uronic acid, total sugars,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phenolic compoundsas well as antioxidants activity in cell wall materials (CWM) derived from different parts of deodeok (Codonopsislanceolata). The values of the uronic acid (UA): neutral sugars (NS) ratio in polymers extracted from the CWM of theflesh and skin were 4 and 6, respectively. The total sugar contents of the flesh and skin were 788.6 and 824.9µg/mg ofCWM, respectively. Galactose and arabinose were the main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The chemical structure of fivephenolic compounds from the CWM were analyzed and identified as vanillic acid, p-OH-benzaldehyde, vanillin, ferulicacid, and 8-O-4' diferulic acid by HPLC spectral data. Among them, p-OH-benzaldehyde, vanillin, and 8-O-4' diferulic acidwere the first compounds identified from the deodeok. The content of 8-O-4' diferulic acid in the skin CWM was 56.1µg/g AIR (alcohol insoluble residue). The ethanol-NaOH fractions from CWM had the highest oxygen radical absorbancecapacity (ORAC) activities, followed by the AIR fractions and ethanol fractions.

한국어

더덕의 육질과 껍질의 부위별 세포벽 물질(CWM)로부터 uronicacid, 총 당, 비섬유성 중성당,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더덕의 육질과 껍질의 uronic acid와 중성당의비는 4, 6이었다. 총 당 함량은 육질과 껍질에서 각각 788.6, 824.9µg/mg CWM이었다. 주요 비섬유성 중성당은 galactose와 arabinose였다. 더덕 CWM으로부터 분석된 주요 페놀성 화합물은 vanillicacid, p-OH-benzaldehyde, vanillin, ferulic acid 및 8-O-4' diferulic acid 였다. 이들 중 p-OH-benzaldehyde, vanillin, 8-O-4' diferulicacid는 더덕에서 처음으로 동정된 것으로 인삼의 세포벽 페놀성화합물 조성과 유사하였다. 더덕의 껍질 AIR에 함유된 8-O-4'diferulic acid의 함량은 56.1µg/g CWM이었다. 더덕의 CWM로부터 얻은 ethanol 분획, ethanol 분획의 ethanol-NaOH 분획, ethanol분획 후 잔사로부터 얻은 AIR 분획의 항산화 활성의 크기는ethanol-NaOH 분획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AIR 분획, ethanol분획의 순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 약
 문 헌

저자정보

  • 강윤한 Yoon-Han Kang. 강릉원주대학교 식품과학과(Department of Food Science, Kangnung-Wonju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