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ㆍ중등학교의 급식시설 환경개선방향에 대한 기초적 연구

원문정보

A Fundamental Study on the Design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Object of Food service in Educational Facilities

김경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basic data for design guidelines of architectural planning and efficient environment of school food service spaces. For doing this, we preliminarily investigated the 23 schools and interior moving lines for service. It is found that the clean space(pre-preparation room, cooking room, and dish-washing room)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another space by hall, corridor, and wall. And, it is very importantly understand for hygienic environment. Then more spaces for food service are needed.

한국어

본 연구는 위생적이고 능률적인 작업이 가능한 급식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정책방향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기존의 급식시설 배치현황 및 조리과정에 대한 관찰조사와 설문조사 결과 식재료들의 조리에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는 조리장부분과 급식종사원이 중심이 되는 영역의 분리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조리장의 경우 급식실 또는 급식시설, 조리실, 조리시설 등의 용어가 혼재 사용되고 있어서 개별 용어에 대한 정의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음과 동시에 조리장을 구성하고 있는 실의 분리가 위생환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급식시설의 면적은 전반적으로 협소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시설을 구성하고 있는 실의 기능적인 분리와 아울러 정책결정에 있어서 중요한 고려요소로 인식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급식 및 시설현황 고찰
  1. 급식메뉴 및 조리과정
  2. 시설환경 실태분석
 III. 사용자 요구 분석
  1. 설문조사개요
  2. 조사분석내용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경호 Kim, Kyung-ho.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