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터넷배너광고 표현요소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A I O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박승환, 최철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s visual and verbal components of advertisement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purchase intention by types of the propensity about consumer's activities, interests, opinions(AIO) and types of the internet banner advertisements. The research results from regression showed as followed: First, it revealed that visual component of the advertising only effects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purchase intention irrespective of types of the propensity about consumer's AIO and types of the internet banner advertisements. Second, in case of banner advertisements that not moved, customer who have positive propensity about AIO effects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purchase intention, but in case of animated banner advertisements, all customer who have positive and negative propensity about AIO effect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purchase intention. Third, attitude toward advertising of customer who have positive propensity about AIO in banner advertisements that not moved is more higher than customer who have positive propensity about AIO in animated banner advertisements. In summary, this study found that the visual element of an advertising is important in developing a strong,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advertising, which in turn leads to increased purchased intention in banner advertising.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배너광고 유형별로 그리고 활동, 관심 및 의견(AIO)에 관한 소비자의 성향별로 시각정보와 언어정보 표현요소가 광고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데 있다. 회귀분석을 통한 분석결과, 첫째 인터넷 배너광고의 유형과 소비자의 AIO 성향에 관계없이 시각적 표현요소가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지된 배너광고에서 AIO 성향이 긍정적인 소비자가 광고태도 및 구매의도에 영향을 준 반면, 동영상 배너광고에서는 AIO 성향이 긍정적인 소비자와 부정적인 소비자 모두에서 광고태도 및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지된 배너광고에서 AIO 성향이 긍정적인 소비자의 광고태도는 동영상 배너광고에서 AIO 성향이 긍정적인 소비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너광고에서 시각적 표현요소를 통해 강력하고 긍정적인 광고태도를 개발함으로써 구매의도를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 론
 2. 연구모형
 3. 이론적 선행연구 및 연구가설
 4. 조사설계
  4-1. 변수의 측정
  4-2. 표본조사설계
  4-3. 설문지 구성
  4-4. 조사방법
 5. 실증분석
  5-1. 자료의 성격
  5-2. 라이프스타일변수 요인분석
  5-3. 자료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5-4. 연구가설 검정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승환 Seung-whan Park. 단국대학교 경상대학 부교수(Dankook University)
  • 최철재 Chul-jae Choi. 백석문화대학 경상학부 조교수(Baekseok Culture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