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修己의 측면에서 본 [大學]에서 [聖學輯要]로의 학문적 심화

원문정보

Academic Enrichment beginning from the Great Learning(大學, Dae Hak, or Da Xue in Chinese) toward the Essentials of the Studies of the Sages(聖學輯要, Seong Hak Jibyo) in the respect of Cultivating Oneself(修己, sugi)

수기의 측면에서 본 [대학]에서 [성학집요]로의 학문적 심화

신창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was a quest of pattern of holding “Dae Hak - the Great Learning” during Joseon Period having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ssentials of the Studies of the Sages(聖學輯要, Seong Hak Jibyo) that was compiled by Lee I was a re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 and also academic enrichment. During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Great Learning had held the most important position as core scripture in the intellectual society that pursued Seong Hak(聖學, sage learning). Throughout the Joseon Period, the Great Learning was the essential text for the Emperorship Learning(帝王學, Jewang Hak) as well as Seong Hak, and it can also be said that Seong Hak Jibyo compiled by Yulgok – the courtesy name of Lee I, was the comprehensive collections thereof.While compiling Seong Hak Jibyo, Yulgok presented a model of Seong Hak of Joseon, which was based on “the Great Learning”. Yul Gok organized the system of “Seong Hak Jibyo” largely in five parts, and properly arranged the Three Cardinal Principles(三綱領, samgangryeong) and Eight Articles or Steps(八條目, paljomok) therein. Particularly, in the Chapter Two, 「Cultivating Oneself(修己, sugi)」, Yulgok deal with ‘being able to manifest one’s bright virtue’(明明德, myeong myeong deok) among the Three Cardinal Principles as the core curriculum, meanwhile, Yulgok also covered “Investigation of things, gyeongmul(格物),” “Extension of knowledge, chiji(致知),” “Sincerity of the will, Seongui(誠意),” “Rectification of the mind, Jeongshim(正心),” “Cultivation of the personal life, susin(修身),” among Paljomok(eight steps) as the ultimate purpose of ‘Stopping in perfect goodness’(止於至善, jieojiseon)These well preserve the principal system of Confucianism where “Cultivating oneself and regulating others (修己治人, sugichiin)” are core value, and his instructions as such also back up academic validity logically by presenting specific guidelines for practice according to each domain. Re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 by Yulgok in Seong Hak Jibyo is an arena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ism in Joseon Period, which was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furthermore, such guidelines might take a role as criteria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umans and learning possessed by Korean people.

한국어

본고는 대학의 재해석이자 학문적 심화인 율곡 이이의 성학집요의 특성을 고찰하여 조선시대 대학의 수용 양상을 탐구한 것이다. 조선의 경우, 대학은 성학(聖學)을 지향하는 지성 사회에서 핵심 경전의 위상을 점하고 있었다. 대학은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제왕학(帝王學)이자 성학의 기본 교재로 탐구의 대상이 되었고, 율곡의 성학집요는 그것의 총집결체라고 볼 수 있다. 율곡은 성학집요를 편찬하면서 대학을 기본으로 조선 성학의 모델을 제시했다. 율곡은 성학집요의 체제를 크게 다섯 편으로 구성하고, 대학의 삼강령팔조목을 적절하게 배치한다. 특히 2편의 「수기」는 삼강령 중 명명덕(明明德)을 핵심으로 하되, 팔조목 가운데 격물-치지-성의-정심-수신의 지어지선(止於至善)을 다루었다. 수기의 이치는 명명덕, 격물-치지-성의-정심의 수신의 총론을 다룬 부분과 이를 입지, 수렴, 궁리 등 열두 가지의 구체적인 학문 양식으로 확장한다. 이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을 핵심으로 하는 유교의 기본 체제를 잘 보존하면서도 각 영역별로 구체적 실천 지침을 제시하여 학문의 타당성을 논리적으로 뒷받침 한다. 그것은 중국 유교와 다른 조선 유교의 특징을 검토하는 장이다. 나아가 조선 민족이 지닌 인간과 학문의 특성을 이해하는 하나의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緖 言
 Ⅱ. 대학과 성학집요의 體制 및 內容 比較
 Ⅲ. 「修己」의 學問的 深化와 特徵
  1. 立志의 위상; 학문의 맥락과 시작
  2. 收斂에서 窮理로; 학문의 과정
  3. 誠實에서 矯氣質⋅養氣⋅正心⋅檢身으로; 학문의 목적
  4. 恢德量⋅輔德⋅敦篤⋅功效; 학문의 심화 방식과 효과지속의 방법
 Ⅳ. 結 語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창호 Shin, Chang-Ho.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