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세계화를 위한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의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인지도 조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among Fifth,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Preparation of Globalization

곽연주, 김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among fifth,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popularization and development plans for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to make use of it as a basic material. For the investigation, 163 fifth-grade and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by a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ized by the SPSS 12.0 program. In order to know the preference of the 14 Korean traditional Food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variants. We had carried out ANOVA and t-test,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sex, residential type, parents's occupation, father's educational level, mother's educational level, mother's job, standard of living. In order to know the preference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variants. The variants of 'Jeonyueo' was varied according to only sex(p<.05). The variants of 'Songpyun' and 'Hwayangjeok were varied according to residential type(p<.01). The variants of 'Sukddeok(p<.001)', 'Songpyun', 'dakjjim' and 'patjuk' were varied according to mother's educational level(p<.05). The variants of 'Burum', 'Hwayangjeok' and 'Besuk' were varied according to mother's job(p<.05). The variants of 'Ddeokguk(p<.05)', 'Sikhyae(p<.05)', 'Sukddeok(p<.01)' and 'Songpyun(p<.01)' were varied according to standard of living. In order to get easy access to the percep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high awareness, recognition, preference for school students. We must provide many opportunities to experience various traditional foods at home and school. Furthermore we should teach them and make good public relations about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al customs and continue to develop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culture in the long run.

한국어

전통음식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여 전통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한국 전통음식 중 대표적인 절기음식 14종류에 대하여 조사대상자의 성별, 주거형태, 부모님의 직업, 아버지의 학력, 어머니의 학력, 어머니의 직업 유무, 경제수준에 따른 인지도에 대한 요인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였으며, ANOVA와 t-test를 이용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성별에 따른 전통음식에 대한 인지도는 식혜, 떡국, 송편, 쑥떡, 팥죽 등의 항목에서 유사한 인지도를 나타내었고, 전유어에 대한 인지도에서 유의적인 차이(p<.05)를 나타내었다. 주거형태에 따라서는 송편과 화양적이 유의적인 차이(p<.01)를 나타내었으며, 부모님의 직업에서는 떡국, 식혜, 쑥떡의 인지도에서 유의적인 차이(p<.05)를 나타내었다. 아버지의 교육정도에 따른 전통음식의 인지도에서는 항목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어머니의 교육정도에서는 쑥떡(p<.001), 송편, 닭찜, 팥죽의 인지도에서 유의적인 차이(p<.05)를 나타내었다. 어머니의 직업유무에 따른 전통음식에 대한 인지도에서는 부럼, 화양적, 배숙의 인지도가 유의적인 차이(p<.05)를 나타내었고, 어머니가 직업을 가진 군에서 전통음식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항목이 많았다. 경제적 수준에 따른 전통음식에 대한 인지도에서는 떡국(p<.05), 식혜(p<.05), 쑥떡(p<.01), 송편(p<.01)의 인지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앞으로도 가정과 학교에서 초등학생들에게 전통음식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전통 음식에 대한 지식과 인지 및 기호를 증가시킴으로써 전통음식이 더욱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목적
 II. 이론적 배경
  1. 우리 전통음식 문화의 우수성 
  2. 우리 전통음식 문화 교육의 필요성
 III. 연구 내용 및 방법
  1. 조사 대상 및 기간
  2. 조사 내용 및 방법
 IV. 연구 결과 및 고찰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 전통음식 종류에 대한 인지도
 V. 결론 및 제언
 VI.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곽연주 Kwak, Yeon-Ju. 마산대학교
  • 김현주 Kim, Hyun-Joo. 진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