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학습일기쓰기의 유용성 및 만족에 관한 연구 : 고등교육 영역의 학습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Usefulness and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Journal Writing

전주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and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journal writing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196 undergraduate students who took a course offered for 2008 Spring Semester for pre-service teacher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wo samples t-tests,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is study has two significant conclusions: First,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ppreciated learning journal writing as a pedagogical tool. They recognized that learning journal writing has several usefulnes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aspect as follows: (1) forming their own perspectives on education, (2) inducing interest in education-related issues, and (3) enhancing their socal adaptation. In additio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activity of learning journal writing. Second, if learning journal writing is used in higher education settings as an useful educational strategy, it is important that instructors consider the background of learners.

한국어

이 연구는 고등교육 영역에서의 학습일기쓰기가 교육적 측면에서 어떤 유용성을 가지고 있는지, 또한 학습일기쓰기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지를 학습자의 관점에서 경험적으로 분석해 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A대학 재학생들로 지난 2008학년도 1학기에 교직과목을 수강한 196명이다. 수집된 연구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학습자들은 학습일기쓰기가 교육적 측면에서 다양한 유용성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으며, 학습일기쓰기 활동에 대해서도 만족하였다. (2) 교수자는 학습일기쓰기를 고등교육현장에서 하나의 교수전략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 학습자의 배경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차

요약
 고등교육 영역에서의 학습일기쓰기에 관한 연구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도구 및 분석방법
 연구결과
  학습일기쓰기와 유용성 및 만족도 문항의 기술 통계치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주성 Ju-ung Jun. 경원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