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solvents on extraction of bioactive phenolicsand to analyze the antioxidant capacity and contents of individual catechins in various grades of green teas organicallygrown in Boseong, Korea. The organic green teas, based on their harvest seasons, were categorized into five grades suchas Woo-Jeon, Se-Jak, Jung-Jak, Dae-Jak, and coarse tea. Solvents used to extract phenolics from these teas included waterat 23oC and 70oC as well as 80% (v/v) aqueous methanol and ethanol. In general, aqueous organic solvents of methanoland ethanol led to higher extraction yields of phenolics than water at 23oC and 70oC.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capacity of the teas extracted with the aqueous organic solvents were approximately 1.5 to 3.2 and 1.8 to 3.8 times higherthan those with water at 23oC and 70oC, respectively. Coarse tea, the lowest grade of green tea, showed approximately 30-60% lower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 capacity compared with the higher grade ones. Reversed-phase HPLC analysiswas performed quantitatively to identify individual catechins, gallic acid, and caffeine in teas extracted with 80% (v/v)aqueous methanol. Based on their dry weights, the organic green teas contained about 1.7 to 2.9% of caffeine. Content(mg/g dry weight) of tea catechins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Woo-Jeon (155.4)>Se-Jak (147.7)>Jung-Jak(143.2)>coarse tea (135.1)>Dae-Jak (130.5). (-)-Epigallocatechin gallate was the most abundant among the catechinsanalyzed. The highest grade of green tea, Woo-Jeon, had the highest amount of (-)-epigallocatechin gallate at 77.4mg/g dryweight. Overall, the higher grade of organic green teas tended to have the higher level of antioxidant capacity and catechins.
한국어
유기농 녹차의 등급별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은 각 추출 용매에 따른 수율을 확인하였을 때 물 추출에 비하여 수용성 유기용매의 추출 수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수율은 물을 이용할 때 보다 총페놀 함량은 1.5에서 3.2배, 항산화능은 1.8에서 3.8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HPLC 분석을 통하여총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의 상관관계를 비교 시 총페놀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1차 선형관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PLC분석을 통하여 유기농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카테킨의 함량이 채엽시기에 따라 변화가 나타났다. 유기농 녹차의카테킨 성분 중 가장 많이 존재하는 EGCG가 건조중량당 5.8-7.7%의 함량을 보였고, caffeine은 1.7-2.9%의 함량을 보였다. 유기농 녹차의 카테킨 함량은 일반적으로 채엽 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였다. 유기농 녹차의 등급에 따른 항산화능은최상급인 우전에서 가장 높았으며 최하등급인 엽차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HPLC 분석에 의한 유기농 녹차의 등급에 따른 총카테킨 함량(mg/g)은 우전(155.4), 세작(147.7), 중작(143.2), 엽차(135.1), 대작(130.5)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녹차의 채엽 시기가 유기농 녹차의 카테킨 성분 및 항산화능에도 영향을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상급의 유기농 녹차 일수록총페놀 및 카테킨 함량이 많으며 또한 더 높은 항산화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 약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