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과 ‘목공수업’에서 문제해결학습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on the Student Achievement in the Woodworking Unit

심연현, 이춘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toward the learning achievement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raditional learning method and the problem solving method in woodworking in the practical art subject. To achieve these goals, the sample populations were selected two classes of 30 students each in 6th grade in Incheon. After the pre-test of the two groups to verify there isn't a meaningful difference. The teaching plan based on the problem solving instruction model has been applied for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0 hours during 3 weeks. And the controlled group has followed the traditional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objective of the unit such as technological knowledge, concept for the product, and the making ability, the learning achievement has been verified by the post-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To verify the result, T-test was conducted using the SPSSWIN 14.0 sotfware. The significance level was p<.05. The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has been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earning achievement in the area of technological knowledge between the two group. Second, the method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in the unit of woodworking is far better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one. Third, in the area of ideation and drawing ability, it has been shown that the method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in the unit of woodworking is far better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one. Finally, in the area of making product ability, it has been shown that the method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in the unit of woodworking is far better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one. But the student hasn't felt the meaningful difference. Therefore the method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is a lot effective than traditional one in the area of improving the technological knowledge and product ideation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s are recommended First, it is demanded to develop the way of evaluation and questionaries in the stage of draft on problem solving instruction study. That is, the practical questions which can be applied for regular course for teacher to deal with problem solving instruction study, and there is also need for the plan to supply these data to the educational field. Second, to generalize problem solving instruction study in practical arts, the facilities such as school library, computer lab where students can use the internet, and laboratory room which contains sufficient experimental equipment should be prepared. Finally, there should be a stud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ther teaching method owing to its limitation within practical arts.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초등실과 기술영역 ‘우리 생활과 목제품’ 단원에서 문제해결학습방법과 전통적 학습방법을 비교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천시 ㅁ초등학교 6학년 2개반 60명을 실험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송현순의 문제해결학습모형에 따라 지도안 작성하여 4월 3주간 10차시 분량의 문제해결학습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전통적 학습을 적용하였다. 학업성취도는 단원의 지도 목표에 따라 기술적 지식, 제품 구상능력, 제품 제작능력으로 나누어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첫째, 문제해결학습을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후의 실험집단의 기술적 지식 영역 학업성취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우리 생활과 목제품’ 단원에서 문제해결학습은 전통적 학습에 비해 기술적 지식 영역의 학업성취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리 생활과 목제품’ 단원에서 문제해결학습은 전통적 학습에 비해 제품 구상능력 영역의 학업성취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리 생활과 목제품’ 단원에서 문제해결학습은 전통적 학습에 비해 제품 제작능력 영역의 학업성취에서 교사의 평가로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생 본인 평가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은 첫째, 문제해결학습의 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 및 평가방법을 개발 보급할 수 있는 지원이 요구된다. 교사가 쉽게 문제해결학습을 더 다양한 교과와 영역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전문적으로 문제를 개발하고 이러한 자료를 현장에 보급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둘째, 문제해결학습이 실과수업에서 일반화되기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학교 도서관,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실, 충분한 실습설비를 갖춘 실습실 등의 환경조건이 갖춰져야 하겠다. 셋째, 문제해결학습은 실과 교수학습방법의 일부분이므로 다른 교수학습방법의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가 뒤따라야 하겠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 가설
  4. 용어의 정의
 II. 이론적 배경
  1. 문제해결학습
  2. 실과 학업성취도
  3. 선행 연구 고찰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1. 연구의 대상
  2. 실험의 설계
  3. 측정 도구
 IV. 연구 결과 및 해석
  1. 기술적 지식의 학업성취도
  2. 제품 구상능력의 학업성취도
  3. 제품 제작능력의 학업성취도
 V.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심연현 Shim, Youn-Hyun. 인천만월초등학교
  • 이춘식 Lee, Choon-Sig. 경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