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생약재 추출물의 hyaluronidase 저해 및 라디칼 소거 활성 검색

원문정보

Screening of Hyaluronidase Inhibitor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vitro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Extracts

최수임, 이윤미, 허태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r the screening of anti-inflamm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ethanolic extract of 40 species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were examined their hyaluronidase inhibitory effec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vitro. From the result of the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using a Morgan-Elson assay, Astragali Radix, Eucommia Cortex, Schizandrae Fructus, Scutellaria Radix, Acanthopanacis Cortex, Chaenomelis Fructus, Amomum xanthioides Wallich and Moutan Radicis Cortex showed more than 50% hyaluronidase inhibitory effects at the concentration of 10 mg/mL. In the various solvent fractions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water) prepared from ethanolic extracts,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all extracts tested showed strong activity. Antioxidative activity was evaluated by assaying electron-donating ability to DPPH free radical and scavenging of hydroxyl radical (․OH) generated through Fenton reaction, respectively. Rubus coreanus Miq, Moutan Radicis Cortex, Paeoniae Radix Alba, Plantaginis Semen and Sorbus commixta Hedl. showed high activity more than 90%, yet similar activity to α-tocopherol and BHA at the concentration of 1 mg/mL in electron donating activity. The scavenging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on hydroxyl radical were investigated using a 2-deoxyribose oxidation method and tested all extracts showed significa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experiment was also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herbal medicines having significant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Schizandrae Fructus is the strongest inhibitory activity in both linoleic acid and liposome peroxidation.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유용한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40여 가지 생약재를 에탄올 추출하여 HAase 억제 및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HAase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1 mg/mL의 농도에서 황기, 두충, 오미자, 황금, 오가피, 목과, 목단피, 산사가 50% 이상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이들에 대하여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water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하여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의 ethyl acetate와 water 분획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Fenton 반응에 의해 발생한 hydroxyl radical에 대한 소거능으로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복분자, 목단피, 백작약, 차전자, 마가목 에탄올 추출물이 1 mg/mL
농도에서 90% 이상으로 대조군으로 이용한 BHA와 α-tocopherol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2-deoxyribose 산화법에 따른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에서 대부분의 에탄올추출물 시료에서 모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을 갖는 시료에 대하여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linoleic
acid와 phosphatidylcholine liposome 기질 모두에 대하여 오미자 추출물은 가장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실험 재료 및 기기
  시료 추출물의 조제 및 용매분획
  DPPH 자유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 측정
  HAase 저해활성
  Hydroxyl radical(OH․) 소거능 측정
  β-Carotene / Linoleic acid system에서의 항산화 작용
  리포좀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
 결과 및 고찰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
  HAase 저해 활성
  DPPH 자유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
  Hydroxyl(․OH) 라디칼 소거 활성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최수임 Soo-Im Choi. 인하대학교 생물공학과
  • 이윤미 Yun-Mi Lee. 인하대학교 생물공학과
  • 허태련 Tae-Ryeon Heo. 인하대학교 생물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