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의는 원불교가 새로운 실천불교운동이라는 이해에서 불교의 혁신과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에서 출발한다. 원불교는 불교와 불이적 관계에있으면서도 종교적 정체성을 모범적으로 구현해왔다. 원불교의 사상의 근저를『유마경』에 주목하여 규명하였다. 『유마경』은 대승불교 반야의 공사상을 천양하고, 대자비의 바탕에서 불이적(不二的)인 실천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유마경』은 심오한 반야공관(般若空觀)에 기초한 불가사의한 해탈법문, 입불이(入不二)법문 등의 사상을 통해 이상적인 사회는 현실에서 출발됨을 제시하였다. 현실 속에서 이상적인 사회를건설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실천행을 분명히 밝혔다. 그래서 현실을 바로보고 이상을 꿈꾸는 선각자들이 주목한 경전이다. 『유마경』 안에는 바로 교단에 안주하지 않는 새로운 인간형이 살아 숨쉬고있다. 이는 원불교의 지향과 닮아 있다. 특히 기성 교단에 대한 비판, 붓다의 십대제자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불교관의 천명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제시는 원불교가 지향한 불교의 생활화 대중화를 넘어 불교의 시대정신 구현에 자산이 되었다고 본다. 유마의 침묵은 언어를 떠나 참다운 실천으로 보여주었으며, 소태산대종사는 이를 일원상으로 보여주고 실천에 옮긴 것이다. 아울러 그러한 정신은 ‘불법연구회’의 개혁적인 실천과 ‘사회개벽교무단’, ‘원불교 환경연대’ 등교단의 사회 참여로 연결되고 있다. 유마가 설파한 실천을 불교혁신론을 통해서 구체적 실천의 구조임을 밝혔다. 소태산대종사의 혁신사상을 불교사상의 대중화, 수행의 혁신, 일원상 신앙으로 혁신 등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본 논의를 통해 『유마경』과 원불교의 만남을 통해 같은 길에서 닮은 듯 다른 모습으로 조화롭게 이 시대 진정한 종교란 무엇이며,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함께하는 동반자로 대화의 길에 함께하며, 실천해 가는데 이바지하길 바란다.


This study started with an assessment that Won Buddhism made a hugecontribution to the reform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as a new practiceBuddhism movement. Won Buddhism has implemented its religious identity in anexemplary manner in a non-dual relation with Buddhism. The present study set outto investigate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Won Buddhism based onVimalakīrtinirdeśa-sūtra. Vimalakīrtinirdeśa-sūtra announced and spread the Śūnya idea of Prajna-Paramita-Sutra in Mahayana Buddhism and exhibited non-dual practice based ongrand mercy. Vimalakīrtinirdeśa-sūtra proposed that an ideal society should beginin reality through the mysterious nirvana law based on the profound Śūnya idea ofPrajna-Paramita-Sutra and the non-dual law. It also clearly suggested a range ofmethods and practice acts to build an ideal society in reality. Those are the reasonswhy pioneers paid attention to the sutra, seeing through reality right and dreamingof an ideal. There is a new type of person that does not settle down in the current religiousbody living and breathing in Vimalakīrtinirdeśa-sūtra, which resembles theorientation of Won Buddhism. The criticism of the old religious body and Buddha’sten pupils, clarification of a new Buddhist viewpoint, and proposal of a newparadigm became the assets to implement the zeitgeist of Buddhism beyond the familiar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sought after by Won Buddhism. Thesilence of Vimalakīrti showed true practice beyond language, and Master Sotaesanshowed it as Ilwonsang and translated it into practice. The spirit has been connectedto the reformist practice of “Institute of Buddha-Dharma” and the socialparticipation of “Social Beginning Administration” and “Environmental Alliance ofWon Buddhism.”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 practice elucidated by Vimalakīrti had astructure of specific practice through the theory of Buddhism reform. The reformideology of Master Sotaesan was arranged in three ideas, namely the popularizationof Buddhist ideology, reform of asceticism, and reform into Ilwonsang faith. Thepresent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the conversation and practice for suchquestions as what true religion is and what one should do in the contemporary timesbased on the similar and yet different aspects in harmony on the same path throughan encounter between Vimalakīrtinirdeśa-sūtra and Won Buddh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