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 시의 공간소재와 미의식 연구 —『조국의별』(1984) ~『 내변방은어디갔나』(2011)를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학회 한국문예창작 제13권 제1호 통권30호 2014.04 pp.71-95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고은 시의 미적 근대성 구현 양상 -1990년대 시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학회 한국문예창작 제11권 제3호 통권26호 2012.12 pp.9-32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고은의『만인보』와 근대적 주체의 문제 -『만인보』읽기의 방법론 (1)
한국문예창작학회 한국문예창작 제8권 제3호 통권17호 2009.12 pp.57-79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시적 진실과 정치적 진실 -고은,『 우주의 사투리』에 나타난 내면성 연구
한국문예창작학회 한국문예창작 제9권 제2호 통권19호 2010.08 pp.67-86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허무의 육체와 몸의 정치성 — 고은 시에 나타난 ‘몸’의 인식
한국문예창작학회 한국문예창작 제13권 제3호 통권32호 2014.12 pp.11-34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문학의 정치, ‘광주민주화운동’의 시적 재현-고은의 『만인보』(27-30)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학회 한국문예창작 제10권 제3호 통권23호 2011.12 pp.7-38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귀향, 그 세속으로의 탈속-고은 지음 "신왕오천축국전" 외
[Kisti 연계] 대한출판문화협회 출판저널 Vol.141 1994 p.19
협약을 통해 무료로 제공되는 자료로, 원문이용 방식은 연계기관의 정책을 따르고 있습니다.
[이곳 이 사람]고은 시인, 겨레말큰사전편찬사업회 이사장
[국립국어원 연계] 국립국어원 새국어생활 Vol.17 No.4 2007.12 p.0
협약을 통해 무료로 제공되는 자료로, 원문이용 방식은 연계기관의 정책을 따르고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 구매 불가 논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