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번호 0505-555-0740
e-mail: earticle@earticle.net
평일 09:00~18:00 / 점심 12:00~13:00 토.일요일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검색조건
좁혀보기 좁혀보기 초기화
결과 내 검색
조선 후기 목재 유통 체계의 미비와 산림 황폐화
전영우
숲과문화연구회 숲과 문화 제31권 제3호 통권183호 2022.05 pp.19-33
마술의 오렌지 나무 : 하이티의 전래동화
숲과문화연구회 숲과 문화 제4권 제2호 통권20호 1995.04 pp.7-11
안정사의 금송패(禁松牌)
숲과문화연구회 숲과 문화 제2권 제1호 통권7호 1993.02 pp.5-8
임학도가 본 에코토피아인의 숲에 대한 인식
숲과문화연구회 숲과 문화 제1권 제1호 통권1호 1992.02 pp.21-23
「숲과 문화」가 안겨 준 행운
숲과문화연구회 숲과 문화 제34권 제2호 통권200호 2025.03 pp.47-48
일본 나가사키 데지마에서 느낀 시볼드(Siebold)의 숨결
숲과문화연구회 숲과 문화 제33권 제6호 통권198호 2024.11 pp.9-14
조선시대 통영 관내 솔밭[松田] 장부[松案](II)
숲과문화연구회 숲과 문화 제33권 제5호 통권197호 2024.10 pp.13-22
조선시대 통영 관내 솔밭[松田] 장부[松案] ( I )
숲과문화연구회 숲과 문화 제33권 제4호 통권196호 2024.08 pp.21-28
일본 구마노고도 순례 - 나카헤치의 남쪽 구간 -
숲과문화연구회 숲과 문화 제33권 제3호 통권195호 2024.06 pp.12-17
소나무는 어떻게 조선의 관재(棺材)가 되었나?
숲과문화연구회 숲과 문화 제33권 제2호 통권194호 2024.04 pp.15-28
4장. 부산·울산·경상도 5. 문경 김용사 들머리 숲
숲과문화연구회 산림문화전집 산림문화전집 20 2023.12 pp.182-189
4장. 부산·울산·경상도 17. 합천 홍류동 계곡 소리길 숲
숲과문화연구회 산림문화전집 산림문화전집 20 2023.12 pp.278-285
4장. 부산·울산·경상도 12. 청도 운문사 들머리 소나무 숲
숲과문화연구회 산림문화전집 산림문화전집 20 2023.12 pp.238-245
4장. 부산·울산·경상도 16. 양산 통도사 들머리 무풍한송
숲과문화연구회 산림문화전집 산림문화전집 20 2023.12 pp.270-277
5장. 전라도 14. 장성 백양사 들머리 아기단풍숲
숲과문화연구회 산림문화전집 산림문화전집 20 2023.12 pp.400-407
2장. 강원도 6. 평창 월정사 들머리 전나무 숲
숲과문화연구회 산림문화전집 산림문화전집 20 2023.12 pp.76-83
5장. 전라도 5. 부안 내소사 들머리 전나무숲
숲과문화연구회 산림문화전집 산림문화전집 20 2023.12 pp.328-335
5장. 상례 속 산림문화
장영탁, 전영우, 박봉우
숲과문화연구회 산림문화전집 산림문화전집 19 2023.12 pp.137-208
조선의 의례용 임산물-향탄 (2)
숲과문화연구회 숲과 문화 제32권 제6호 통권192호 2023.12 pp.14-24
조선 왕실의 의례용 임산물-향탄(香炭)
숲과문화연구회 숲과 문화 제32권 제5호 통권191호 2023.10 pp.11-26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장바구니로 이동 계속해서 검색하기
년 - 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