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산업화를 통한 근대화 추진은 “세계화”를 내세운 공간 압축 가속화로 귀결되고 있다. 이에 대한 ‘되먹임’으로 볼 수 있는 팬데믹 상황에서도 공간 압축은 오히려 가속화되고, 정교화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이동과 장소에 대한 철학적 검토가 필요함을 반증한다. 그리고 ‘근대 이후 난민’ 이동과 그에 따른 ’이문화 밀집지역‘의 장소성’이 상실되고 있다는 우려와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현실적 요구로 귀결된다. 이문화 밀집지역은 이주자에게는 인큐베이터, 선주자에게는 이문화 포털 역할을 하면서 문화혼종성 실천장이라는 장소성을 갖추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조선족 밀집지역과 오사카 재일코리안 밀집지역의 모빌리티를 추적하면서, 문화적 실천행위로서 재현의 양상을 철학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들은 트랜스네이션적 성격이 강하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산업화 초기와 후기라는 시기적인 차이점을 가진다. 이 점에 유의하면서 트랜스로컬적 성격이 강한 제주특별자치도 이주자 밀집지역의 변화 양상과 그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주자는 이동을 통해서 근대지리학에서 “비활동과 측량의 세계”로 간주하고 있는 공간을 상대적인 공간으로 만드는 실천-주체이다. 재외한인의 이동은 근대국민/민족국가질서가 구획한 경계를 넘나드는 실천-행위다. 그리고 이들의 이동 유형이 바뀌는 과정에서 이문화 밀집지역은 장소성의 변화를 겪게 된다.


The promotion of modernization through industrialization has led to the acceleration of spatial compression, driven by "globalization". Even in the pandemic situation where "feedback" to this is required, spatial compression has instead accelerated and become more refined. This fact demonstrates the necessity for a philosophical examination of movement and place. This boils down to the problem of 'post-modern refugee' migration and the consequent loss of the placeness of the ethnic enclave and the realistic need to find solutions. This is because the ethnic enclave serves as incubators for migrants and intercultural portals for former occupants, having the placeness as a practice site for cultural hybridity. While tracking the mobility of the densely populated areas of Korean-Chinese in Seoul and Korean-Japanese in Osaka, Japan,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representation philosophically as a cultural practice. Even though Korean-Chinese in Seoul and Korean-Japanese in Osaka share a strong transnational character, they differ in terms of the timing of industrialization, with one being in the early stage and the other in the later stage.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migrant concentration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hich have a strong transnational character, and compared their characteristics. Migrants are the subject of practice that transforms the space considered by modern geography as "a world of inactivity and measurement" into a relative space. The movement of overseas Koreans is the action of practice that transcends the boundaries set by the modern people / nation-state order. And during the process of changing their types of movement, the ethnic enclave underwent changes in plac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