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고는 일본의 번역어 사례틀 통해 혼종성과 이질성의 양가성을 통해 가야트리 스피박의 탈식민주의 이론의 수용양식을 고찰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일본어와 한국어 번역서에 나타난 용어의 차이에 대해서 확인했다. 일본어는 ‘hybrid’와 ‘heterogeneous’를 이종혼효 혹은 혼종, 잡종으로 ‘동일언어로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스피박은 혼종성(hybrid)과 이질성(heterogeneous)을 구분하면서 동시에 상호관계성을 인지하면서 ‘인식의 폭력성’ 문제를 다루었다. 스피박은 혼종성 개념 속 내부, 즉 서구적 주체 개념이 주체 해체를 주장하면서도 역으로 서구 자장 속에 주체를 회수해 가는 것임을 이질성을 통해 규명하려고 했다. 그리고 이질성은 담론 자체 내부의 균질적인 것에 환원되지 않는 끊임없는 비판하는 자세라고 보았다. 이와 같은 혼종성과 이질성은 번역 작업에서도 번역 불가능성과 번역 불확정성의 논리 속에 나타난다. 이러한 논리는 스피박이 푸코의 양가성 개념으로 시작해 들뢰즈 등의 대담, 마르크스의 용어 해석에 담겨진 문제들을 통해 보여주었다. 즉 인식의 갇힘 과정을 보여주면서 역으로 인식의 열림을 보여주고자 했다. 이처럼 스피박의 탈식민주의 이론은 개념의 범주화에 있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가 그 개념을 어떻게 재인식할 수 있는가에 있다는 점에 있었다. 필자는 이를 ‘일상 식민지’라는 문제로 변형하여 인식의 폭력이라는 문제로 연결하여 재고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 of accepting Gayatri Chakravorty Spivak’s postcolonial theory in light of the ambivalence of hybridity and heterogeneity using the cases of Japanese translation languages. As Spivak’s postcolonial theory emerged as a ‘Global Thing,’ non-Western countries translated it and accepted its concepts, and yet this study notices that some problems were overlooked.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erminology that appears in the Japanese and Korean translations. In fact, Spivak distinguishes between hybridity and heterogeneity, and explains the violence in perception us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cepts. To be specific, Spivak’s theory starts from a point that, as hybridity arises inside the Western framework, it argues for the dissolution of the Western subject, but that it is ultimately absorbed into the Western internal magnetic field. Spivak viewed heterogeneity as an attitude of constant criticism that the productive activities of discourse are not restored to homogeneity. Hybridity and heterogeneity also appear in translations, and between the native language and other languages. It is found that their understanding or interpretation is not the same even within the same language, which confirms that it is needed for the realization of the unity issue inside the community. Spivak explained the problem of the subject in Foucault’s concept of ambivalence using a process of closure in perception, and attempted to show the openness in perception through that process. In conclusion, this study recognizes that Spivak’s postcolonial theory does not lie in the categorization of concepts but in how to re-perceive the concepts. Based on this, the study traces these concepts back to Lukács’ concepts, examines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ose concepts, transforms it into the problem of ordinary colony, and thereby reviews the problem of violence in perce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