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사동 유적(서울 공평구역 제15․16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은 2021년에 조사된 유적 중 중요한 발굴 성과 중에 하나다. 16세기 문화층에서 조사된 건물지와 금속유물은 조선 전기의 문화 양상을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다. 문헌으로만 알려진 조선 전기의 과학 기술을 알 수 있는 금속유물들이 출토되어 이 시기의 과학기술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1600여점에 이르는 금속활자는 조선전기 금속활자의 실체를 규명할 수 있어서 서지학적 가치가 매우 크다. 출토된 금속활자의 유형은 한자와 한글로 크게 나뉘며 각 크기에 따라 대, 중, 소로 구분된다. 또한 활자 뒷면의 모양에 따라 낮은 ‘∧’형, 깊은 ‘∩’형, 사각홈형, 긴터널형, 네다리형(분할형), 평저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를 활자 유형별로 살펴보면 경자자(추정), 갑인자, 을해자, 을유자, 그리고 한글활자 등으로 다시 구분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1차 검토된 내용을 바탕으로 서지학적으로 의미있는 내용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유형을 크게 구분해본 것이다. 출토 활자에는 여러 종류의 활자들이 혼합되어 있으며, 앞으로 좀 더 상세한 연구를 통해서 새로운 유형의 활자가 등장할 수도 있다. 또한, 활자에 대한 과학적 분석과 인본 등에 대한 정밀한 조사를 통해 현재 전해지고 있는 금속활자들과의 비교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자격루 장치인 주전(籌箭) 등 기록으로만 존재를 알 수 있던 금속 유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는 유물에 대한 가치 검토가 필요하다.


The excavation of the historic site in Insadong (within the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site of the 15th and 16th zones of Gongpyeong-dong, Seoul) is one of the important achievements of the excavation conducted in 2021. The building sites and metal artifacts discovered from the cultural layer of the 16th century are important materials that shed light on the cultural aspect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Metal artifacts that reveal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knowledg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hich were previously only known through documents, were excavated, and among them, the over 1,600 metal printing blocks have significant bibliographic value because they clarify the reality of metal printing block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types of metal printing blocks excavated are broadly divided into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and are further classified into large, medium, and small size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dimensions. They can also be categorized by the shape on the back of the printing block, including the low ‘∧’ shape, deep ‘∩’ shape, square groove shape, long tunnel shape, divided leg shape, and flat base shape. If we examine them by type of printing block, they can be further divided into Gyongja-ja (estimated), Gapin-ja, Eulhae-ja, Eulyu-ja, and Hangul-ja. This article provides a general overview of the significant content from a bibliographic perspective based on the preliminary review of the types of metal printing blocks. The excavated printing blocks are mixed with various types of printing blocks, and further detailed research may reveal new types of printing blocks. Moreover,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existing metal printing blocks through scientific analysis and precise investigation of human culture and history is necessary. Continuous research is also needed to evaluate the value of artifacts that can provide insight into daily life, such as the metallic artifacts that were previously only known through records, such as Ilseongjeongsi (the astronomical clock) and Jujun (the military arrow).